시에 따르면 택시 1대가 하루 운행시간 중 손님을 기다리며 정차하는 시간은 평균 4시간 이상이다. 여름에는 냉방, 겨울에는 난방을 위해 시동을 켠 채 공회전을 하기 때문이다.
난방은 고온인 엔진 냉각수의 일부를 자동차 내부의 히터 코어로 순환시키면서 공조 팬을 작동하면 따뜻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원리로, 엔진이 늘 가동돼야 한다.
그러나 에너지관리공단에 따르면 1500cc 자동차가 5분 공회전을 하면 이산화탄소가 90g 배출되며, 1.2km를 주행할 수 있는 100cc의 연료가 소모된다.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물질은 전체의 63%를 차지해 온실가스 다량 배출의 주원인이 되고, 불필요한 공회전으로 소비되는 연료는 국가적인 낭비 요인이 되고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이에 시는 자동차 운행 때 90도까지 올라간 냉각수의 열에너지를 시동을 끈 상태에서도 난방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치를 지난해 제작했다. 무시동 난방장치는 가동적산계, 순환펌프, 보조배터리로 구성됐다.
시는 지난해 12월 한 달간 택시 1대에 이 장치를 부착, 시동을 끈 후 90도로 상승한 냉각수를 순환시켜 온기를 느낄 수 있는 36.5도까지 내려가는 시간을 측정한 결과 35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장치를 총 99.2시간 사용한 결과 13만 1,860원(휘발유 118.8ℓ)의 연료비를 절약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06kg 줄일 수 있었다.
시는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지난달 시내 택시 43대에 장치를 추가로 부착, 4월 15일까지 효과를 분석한 후 확대 보급하기로 했다.
현재 서울에는 7만대의 택시가 운행 중이며, 모든 택시에 장치를 부착해 하루 4시간씩 6개월을 사용하면 총 671억원(연 1,342억원)의 연료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시는 예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