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의 항공수요가 꾸준히 증가해 신공항 건설 등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영남권 신공항 유치를 두고 대구·경남·경북과 부산 간의 갈등이 다시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25일 "영남 지역 항공수요조사 연구 결과 김해공항은 항공수요가 매년 4.7% 증가해 오는 2030년께 2,162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2023년부터 김해공항의 활주로가 혼잡할 것으로 예상돼 대책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밝혔다. 실제 김해공항 국제선 운항편수는 지난 2009년 424편에서 지난해 732편으로 급증했다. 대구공항 역시 올해부터 저비용항공사가 취항하면서 올 상반기에만 지난해보다 17.2%의 성장률을 보였다. 최정호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저비용항공사가 급성장하면서 항공요금이 낮아지고 운항편수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항공수요도 꾸준히 증가추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항공수요조사는 지난해 8월부터 1년간 한국교통연구원과 프랑스 파리공항공단(ADP)이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운송포럼(ITF)을 통해 국제적인 검증을 받았다.
영남권의 급증하는 항공수요와 관련 대책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옴에 따라 국토부는 신공항 건립을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에 들어가기로 했다. 사전타당성 조사는 1년가량이 소요되며 이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도 거쳐야 한다. 최 실장은 "사전타당성 조사에서 신공항의 입지와 규모·경제성 등을 검증한 후 건립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며 "신공항 건설 외에 김해공항 확장 등 다양한 대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영남권 신공항 건립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신공항 입지 결정을 두고 지자체 간의 치열한 갈등이 예상된다. 영남권 신공항 건립은 선거 때마다 이슈로 부각됐지만 2011년 경제성이 미흡하다고 결론이 나면서 백지화됐다. 당시 부산은 가덕도를 입지 후보지로 내세운 반면 대구·경북·경남과 울산 등 영남 지역 나머지 4개 지자체는 밀양이 최적지라고 반발해 갈등이 거셌다.
영남권 5개 지자체는 이날 항공수요조사와 관련 일제히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입지와 관련해서는 다른 의견을 내놓았다. 대구·경북은 이날 공동성명서에서 "이번 조사 결과는 영남 지역 5개 시도 주민들이 줄기차게 요구한 신공항 건설의 타당성을 입증한 것"이라며 "신공항은 남부권 전체의 항공 여객과 물류 수요를 감당할 수 있도록 투명한 절차에 따라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부산 가덕도가 대구·경북에서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만큼 대구 등 주요거점에서 1시간 이내 접근할 수 있는 밀양을 신공항 후보지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부산시 역시 이날 신공항 건설의 당위성을 입증했다며 환영하고 있지만 입지 장소에 대해서는 영남권의 다른 지자체와 의견을 달리했다. 부산시는 김해공항을 국내선 전용공항으로 전환하고 가덕도에 24시간 운영 가능한 국제공항으로 이원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