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계획은 무허가 판자촌 약 1,100가구가 밀집한 개포동 구룡마을 일대 26만 6,304㎡를 공공이 주도해 개발·정비하는 내용이다.
오는 9∼10월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이번 계획이 최종 결정돼 고시되면 서울시는 SH공사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하게 되고, 이후에는 SH공사가 주관해 본격적인 보상과 이주 절차를 진행한다. 사업 완료 시기는 2020년 말 예정이다.
강남구 관계자는 "3년 가까이 지지부진했던 구룡마을 개발이 마침내 가시화돼 거주민의 주거 환경이 개선되고 개발 이익은 공공으로 환원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서울시는 우리가 요청한 원안대로 결정될 수 있게 논의를 집중해달라"고 당부했다.
구룡마을은 2011년 개발이 결정됐으나 개발 방식을 둘러싼 서울시와 강남구의 갈등 탓에 사업이 장기간 표류하다 결국 구역이 실효됐다. 그러나 이후 화재 등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서울시와 강남구가 지난해 합의해 개발을 다시 추진하게 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