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새정치민주연합 내에 박영선 국민공감혁신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수사권과 특별검사 추천권이 빠진 세월호특별법에 전격적으로 합의한 것에 대한 의문이 커져가고 있다. 일각에서는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대통령 행적에 대해 야당이 붙인 '7시간 미스터리'에 이어 '박영선 합의 미스터리'가 제2의 세월호 미스터리로 등장했다는 뒷얘기까지 나왔다.
의원들은 전날 열린 의원총회에서 박 위원장의 합의안에 대해 '추인' 대신 '재협상'으로 가닥을 잡은 뒤에도 박 위원장의 독단적인 의사결정 과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합의 내용도 그렇지만 박 위원장이 유가족과 당내 의원들에 대한 의견수렴 과정을 빠뜨린 것을 놓고 의아해 하는 분위기다. 호남의 한 중진 의원은 "박 위원장의 경우 지난해 말 의원총회에서 외촉법 개정안의 부당성을 강조하면서 소수에 불과한 자신의 논리를 펼치며 반대해 개정안 처리가 다소 늦어진 적이 있었다"면서 "그런 경험을 한 의원이 원내대표에 올라 처음으로 협상안을 도출하면서 의견수렴 과정을 빠뜨렸다는 점이 의아스럽다"고 전했다. 실제 우원식·전해철·진성준 의원 등 당내 46명의 의원은 세월호특별법 재협상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박 위원장의 협상 결과물에 반대의 뜻을 명확히 했다.
이에 따라 당 안팎에서는 박 위원장이 자신만의 셈법으로 협상에 나서서 유가족과 당내 역풍에 부딪혔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실제 박 위원장은 지난 10일 유가족들과 만나 수사권 확보보다 진상조사위원회 구성 방식이 더욱 중요한 것이라고 설득작업을 펼쳤다. 5(여)대5(야)대4(대법원장 2인, 대한변호사협회 추천 2인)대3(유가족) 방식을 통해 야당이 위원회의 과반을 확보하는 게 중요했다는 논리다.
반면 다른 편에서는 박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에 취임하면서 투쟁적 이미지를 벗겠다고 선언한 것에서 실마리를 찾고 있다. 박 위원장이 이를 위해 세월호특별법 협상에서 이미지 변신을 시도했다는 분석이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박 위원장이 선거 이후 세월호 협상을 통해 정국의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는 상황에서 섣부른 의사결정을 내려 많은 의원들이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면서 "다만 현재 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인 만큼 논란이 증폭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말을 하지 않는 것뿐"이라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