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30일 원내대책회의를 주재하고 7월1일로 예정된 추가경정예산 편성 당정협의에 앞서 기획재정부의 보고를 받는 등 정상적으로 당무를 집행했다. 전날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빗발치는 사퇴 요구도 버텼던 것처럼 이날도 의연하게 자신의 역할을 수행했다.
아직까지 유 원내대표가 자진사퇴를 선택할지, 아니면 물러나지 않고 자리를 지킬지 속단하기 힘들지만 여당 내에서는 유 원내대표의 '명예퇴진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가 7월6일 본회의를 분수령으로 정리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즉각적인 사퇴 요구를 거부했지만 당의 분란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어 결국 스스로 물러날 것이며 시점은 사퇴 논란을 촉발시킨 국회법 개정안을 처리할 6일이 유력하다는 것이다. 본인이 명예로운 퇴진을 위해 '결자해지'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 친박계는 유 원내대표의 결단을 기다리겠다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통일경제교실' 모임 직후 "유 원내대표가 대통령을 이길 수 없지만 유 원내대표를 배신자로 낙인찍어 내보내는 것 또한 동료로서의 도리가 아니다"라며 "유 원내대표가 명예회복을 하고 본인 스스로 결단을 내리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은 유 원내대표가 스스로 물러날 수 있도록 명분을 주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김 대표가 "지금은 의총할 때가 아니다"라고 밝힌 것도 유 원내대표가 거취를 정하는 데 대한 부담감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사퇴한다면 가장 유력한 시점으로는 7월6일 국회 본회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정의화 국회의장은 7월1일로 예정됐던 본회의를 6일로 미뤄 국회법 개정안 재의의 건을 최우선 처리하겠다고 밝혔고 김 대표는 재의에는 참여하되 표결에는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번 사태의 발단이 된 국회법 개정안이 자동 폐기 수순을 밟을 것임을 예고한 셈이다. 이렇게 되면 유 원내대표가 본회의 발언을 신청하거나 의원총회를 열고 사퇴를 밝히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자진사퇴 우세론 속에도 일부에서는 유 원내대표의 버티기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날 유 원내대표와 만난 한 새누리당 원내부대표 의원은 "유 원내대표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의 문제이기 때문에 더 결론 내리기가 힘들다'고 했다"며 사퇴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 비박계 의원 역시 "이미 지난 의총에서 유임하고 다수 의원들이 일을 잘 해달라고 하지 않았느냐"며 유 원내대표가 친박계의 사퇴 요구를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분위기에 친박계인 이장우 의원은 유 원내대표의 자진사퇴 기한을 "길게 보면 6일 본회의까지"라며 그때까지 거취를 결정하지 않을 경우 추후 대책을 논의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