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연구원 신승희 전문연구원 등이 지난해 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에 실은 ‘생존기간을 고려한 생애소득대체율의 추정’ 논문을 보면 3대 연금에 모두 20년 동안 가입했다고 가정했을 때 남자의 생애소득대체율은 38.3%, 여자의 생애소득대체율은 41.1% 정도다.
연구자들은 기존의 소득 대체율이라는 개념이 생존 기간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해 생애소득대체율 지표를 개발해 생존기간에 따라 소득대체율이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했다.
생애소득대체율은 은퇴 전 소득 대비 은퇴 후 소득을 생존기간의 확률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 평균을 낸 지표를 말한다.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의 보험료율은 현행 9%와 8.3%를 적용했으며 개인연금 보험료율은 분석자료가 따로 없어 국민연금과 같은 9%로 가정했다. 대상자는 2014년 신규가입자며 수급연령은 60세로 잡았다.
그 결과 3대 연금에 20년 가입했다면 60세에 2014년 현재가치 기준으로 남성이 평균 108만원, 여성이 평균 67만원을 각각 받게 된다. 남자와 여자의 연금액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남녀 간의 소득에 차이가 있고 남자보다 여자가 오래 살기 때문이다.
수급액을 바탕으로 생애소득대체율을 분석하면 남성은 국민연금이 전체 생애소득대체율의 19.3%를 차지하고 퇴직연금 9.1%, 개인연금 9.9%(총 38.3%)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국민연금이 전체 생애소득대체율의 25.7%, 퇴직연금 7.4%, 개인연금 8.0%(총 41.1%)로 분석됐다.
각 연금에 40년 가입한다고 가정하면 생애소득대체율은 남성 77.4%, 여성 79.2%로 크게 올랐다. 그러나 현실적인 근로상황을 고려했을 때 40년간 3대 연금에 모두 가입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