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정치권에서는 유승민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박 대통령으로부터 '배신자'로 찍힌 데는 경제철학의 차이가 결정적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청와대가 꼽은 유 전 원내대표의 '자기 정치'의 핵심은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고 한 점과 법인세(인상)는 성역이 아니라고 한 점이다.
지난 2007년 박근혜 대선 후보의 경제공약을 만들었던 그가 8년이 지난 현재 개혁적 보수를 얘기하면서 청와대 입장에서는 '같이 갈 수 없는 사람'이 됐다는 것이다.
이 같은 경제철학의 차이에 따른 결별은 앞서 김종인 건국대 석좌교수가 원조라고 할 수 있다. 김 교수는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 캠프에서 경제민주화 공약을 만든 주인공이다. 이 때문에 김 교수는 박 대통령의 '경제민주화 교사'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그러나 그와 박 대통령의 인연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정부 출범 이후 박 대통령이 경제민주화 공약을 포기하면서 김 교수 역시 탈박의 길로 들어섰다.
김 교수와 함께 경제민주화 공약을 구체화한 것으로 알려진 이혜훈 전 새누리당 최고위원도 마찬가지다.
'박근혜의 경제 브레인'으로 불렸던 이 전 최고위원은 최근 박 대통령의 부동산정책 등 경제정책에 대해 쓴소리를 쏟아내고 있다.
당내 경제통이자 대통령의 경제 멘토인 이한구 의원은 여전히 친박으로 분류되지만 청와대와 멀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의원 스타일 자체가 소신이 강하기 때문에 박 대통령 입장에서 부담스러워한다는 분석에서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이 의원은 재정 건전성을 중요하게 여겨 세출구조 개혁 등 근본적인 개혁을 주장하고 있어 박 대통령의 현 경제철학과도 약간 결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의 다른 관계자는 "공교롭게 박 대통령의 경제 브레인 중 다수가 팽 당했으나 이들 가운데 몇몇은 다음 총선을 기약하고 있어 부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고 밝혔다.
물론 박 대통령의 경제 브레인 중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 등 '잘나가는 인물'은 예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