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치안 악화의 이면에는 20대 전후 젊은이들의 심각한 취업난이 자리하고 있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특히 선전, 주하이, 둥관 등 주강 삼각주의 수출기업들이 선진국 경기침체로 타격을 받으면서 일자리가 없어진 2세대 농민공들이 대거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마땅한 일거리가 없어 강도나 부랑배로 전락하고 있는 것이 거리 불안의 주된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10대 후반이거나 20대인 이들 80허우(后), 90허우(后) 2세대 농민공들은 힘든 일을 싫어하면서 고급 휴대폰 등의 소비 욕구가 강해 쉽게 범죄의 유혹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해안지역인 쉬원현에는 통조림 공장 등 수산물 공장이 있지만 월급이 1,000위안 남짓으로 적어 신세대 농민공은 취업을 꺼리고 있다.
올해 18살인 양딩이(가명)는 올 6월 주강 삼각주 지역인 광저우시의 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고향인 쉬원현으로 돌아왔지만 이렇다 할 일거리를 찾지 못했다. 어민인 부모님의 일을 간간히 거들고 있지만 주변에서 강도질을 하는 친구들의 유혹에 시달리고 있다고 양딩이는 털어 놓는다.
2009년 전국 31개 성에 대한 농민공 조사 결과에 의하면 1980년 이후 태어난 80허우 신세대 농민공들이 58.4%를 차지했다. 쉬원현에서 근무하고 있는 형사인 리량은 "쉬원의 치안이 지금처럼 혼란한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