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남북관계가 진전될 경우 본격적으로 교류협력을 추진한다는 방침 하에 22일 '2015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세부내용을 제시했다.
우선 내년 11월 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 서울 총회의 성공적 개최 및 국제기구 승격, 회원국 확대를 통해 북한 민생 인프라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GTI는 우리와 중국·러시아·몽골 등 4개국이 참여하는 동북아 유일의 다자협의체로 동북아 경제개발 및 협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내년에 본계약 체결이 예상되는 남·북·러 물류 협력사업인 나진~하산 프로젝트 등을 통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본격 추진하고 현재 후보지 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기본계획 수립 방침도 세웠다.
특히 정부는 남북 간 신뢰형성과 비핵화 진전 시 국제화를 포함한 개성공단 1단계 사업을 완료하고 북한 인프라 확충을 포함한 대규모 경협사업인 비전코리아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는 등 남북 협력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이다.
북한 주민의 생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모자(母子)보건 패키지 사업과 복합농촌단지 건설 등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3월 드레스덴 선언을 통해 제안한 사업들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개성공단에서 모자보건 1,000일 패키지 사업이 시범 실시된다. 개성공단 근로자의 70%에 달하는 4만명가량이 가임기 여성인 만큼 정부는 임산부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영양식품 지원, 의료시설 개선, 의약품 지원, 탁아소 확대 등의 사업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농업생산 부진과 산림 황폐화로 고통 받는 북한 지역에 농업·축산·산림을 개발하는 복합단지를 남북한이 함께 조성하는 복합농촌단지 사업계획도 마련된다. 개성공단 배후지 등이 적합한 장소로 꼽히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