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15~29세)의 고용지표가 90년대 중반이후 전반적인 고용사정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용노동부는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분석한 결과, 청년고용률이 지난 95년 46.4%에서 지난해 40.5%까지 하락했으며 2000년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고용률은 지난 82년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가 작성된 이후 최저치로 위환 위기 때인 98년의 40.5%보다 낮았다. 특히 15~24세의 지난해 고용률은 22.9%로 OECD평균(40.6%)의 절반에 불과하는 수준이었다.
이 같은 청년층 고용 악화는 고졸 이하자, 25세 미만자, 남성이 더욱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고졸 이하의 고용률은 99년 36.8%에서 지난해 22.5%까지 떨어졌다. 25세 미만 고용률은 95년 34.6%였지만 작년에 22.9%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 남성고용률은 99년에서 지난해까지 10년간 44%에서 39%로 떨어진 반면 여성 고용률은 같은 기간 동안 37.5%에서 지난해 41.8%로 상승했다.
고용부는 청년층이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 감소와 청년층 감소를 포함한 인구구성 변화, 고학력화 진전 등에 따른 노동의 수요와 공급 불일치 때문에 장기적인 청년층 고용부진 현상이 나타난 것 같다고 진단했다.
청년층 중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자의 비중은 17.5%로 전 연령 평균(9.2%)의 두배에 달하는 수준이었다.
학력별 비구직사유로는 초대졸 이상에서 전공 경력 불일치(22.9%)의 비중이 높았고, 고졸이하는 일거리가 없어서(35.9%)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고학력자일 수록 전공, 경력 등의 노동시장적 사유로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용부의 한 관계자는 “노동 수요 측면에서 봤을 때는 고학력자에게 맞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고, 공급 측면에서는 대학 구조조정, 산업 수요에 맞는 능력개발 강화 등을 통해 부문별 과소 및 초과 공급을 없앨 필요가 있다”며 “직업진로 지도 및 취업지원 강화 등을 통해 단기적인 인력수급 불일치 현상도 없애야 한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