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대학입시는 물론 국제중과 특목고 입시에서도 독서 이력이 중요한 평가 자료로 활용되면서 책 읽기에 대한 기초 다지기가 중요한 교육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 초중고등학교의 각종 평가에서 서술ㆍ논술형 평가가 확대되면서 이에 대한 대비도 중요해졌다. 책 읽기나 서술형 사고에 대한 기초가 튼튼하게 잡혀있지 않을 경우 독서와 새로운 평가 방식이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기 때문에 학기 초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독서 교육의 첫걸음, 독서 이력서 만들기=독서 이력서는 한 사람이 과거부터 지금까지 읽은 책의 장르나 내용, 읽기 방법 등을 한 눈에 보기 좋게 정리한 것이다. 독서 이력서에는 한 사람의 가치관과 생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게 하는 정보가 들어있기 때문에 탄탄한 독서 습관을 기르는 데 있어 필수적이다. 독서 이력서를 작성하면 그 동안 독서 활동을 해 온 패턴을 쉽게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독서 습관을 파악하거나 바람직한 독서 활동을 확인하는 데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권혁순 웅진씽크빅 미래교육사업본부 차장은 "독서 이력서를 작성하지 않고 무턱대고 책을 읽으면 자칫 아이가 읽었던 책을 기계적으로 반복해서 읽게 될 수 있고, 잘못된 독서 습관을 고치지 못할 수 있다"고 밝혔다. ◇독서왕 만드는 독서지도법=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아이마다 좋아하는 분야나 읽기 능력에 있어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 우선 아이가 좋아하는 책을 읽도록 해주며, 차츰 그 관심영역을 넓혀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엄마가 책을 읽어 주는 것은 새로운 분야에 대한 책에 흥미를 갖게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3~4학년의 경우 '그리스로마신화' 같은 환상과 현실이 결합된 신화와 전설, 탐험과 모험의 이야기가 좋다. 초등학교 고학년은 목적을 가지고 스스로 책을 선정해 읽는 태도를 형성하도록 지도한다. 책의 특성이나 읽는 목적에 따라 줄거리 대강 읽기, 요점 읽기, 분석하며 읽기 등 읽는 방법을 달리하도록 지도하는 것도 중요하다. 교과서를 읽을 때, 백과사전에서 정보를 찾을 때 등 책은 읽는 목적과 글의 특성에 따라 읽는 방법이 달라져야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독서를 할 수 있다. 블로그나 트위터에 독서 이력 관리를 시작하는 것도 좋다. ◇책을 읽은 다음 활동이 중요=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책나무 키우기' 같은 활동을 통해 흥미를 더해주는 것이 좋다. 책나무 키우기는 화분에 나뭇가지를 심고 책 한 권을 읽을 때마다 잎을 하나씩 달아 주는 놀이다. 카드를 이용해 나뭇잎 모양으로 접은 뒤 책 이름, 글쓴이, 출판사 등을 쓰고 속에는 책을 읽은 느낌, 등장인물과 특징을 짧게 써 넣으면 된다. 세계 명작이나 세계 문화와 관련된 책의 경우 '책지도 만들기'에 도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세계지도를 벽에 붙인 후, 책을 한 권 읽으면 해당하는 나라에 책 줄거리와 감상을 적은 예쁜 딱지를 붙이는 것이다. 다음 읽을 책을 고를 때 빠진 나라의 책을 우선 고르려는 마음이 생기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폭넓은 독서를 할 수 있게 해 준다. 전문가들은 "책을 알리는 기사나 광고지 만들기를 해보라"고 조언하기도 한다. 색다른 방식의 서평을 써보라는 것. 처음에는 글을 쓰기 전에 3분 정도 책의 줄거리를 말하게 한 후 책을 권하는 이유, 비평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게 한다. 좋은 내용은 16절지나 8절지 등에 광고로 만들어 책의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핵심을 찾아내는 훈련을 이어갈 수도 있다. 한편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독서 이력서 외에 또래들과 독서팀을 꾸려서 서로의 감상을 교환하고 이를 통해 서술ㆍ논술형 평가를 함께 대비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좋다. 대교 솔루니독서논술의 한세희 연구원은 "통합논술이나 서술형 평가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독서 후 활동으로 토론을 통해 생각을 나누는 활동을 함께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또래 학생들과 토론이라는 툴(tool)로 찬반론을 펼치다 보면 무한한 사고의 세계를 경험할 수 있고, 자기의 생각에 남의 생각을 더해 논리적인 힘을 키울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일상에서 깊게 사고하는 습관=부모는 자녀가 일상 생활의 모든 부분에서 서술ㆍ논술형 평가에 대비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아이가 책을 읽을 때 부분만을 보고 전체를 추측해 보게 하거나, 주제나 주장, 근거 등을 생각하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전문가들은 신문을 통합논술 대비의 가장 좋은 도구로 꼽는다. 신문에 나온 통계를 보여 주고 그 통계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하는 방식의 학습훈련이 중요하다. 생각을 글로 써 보는 훈련도 좋다. 짧지만 핵심적인 내용을 담는 능력은 긴 글을 요약하는 연습을 하거나, 그림이나 사진을 글로 옮겨 보는 간단한 방법으로도 서술ㆍ논술형 평가에 대비할 수 있는 힘이 길러질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