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설/4월 8일] 성장동력으로 뜨는 신재생에너지 산업
입력2010-04-07 18:28:59
수정
2010.04.07 18:28:59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태양광ㆍ풍력ㆍ바이오연료ㆍ태양열ㆍ지열ㆍ연료전지 등 6대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지식경제부의 실태조사 결과 지난 5년간 매출은 29배, 일자리는 13배, 투자는 3배나 늘어났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매력적인 투자 분야로 각광받는 동시에 일자리를 창출하는 유망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선진국보다 늦게 뛰어들었는데도 불구하고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성장세는 괄목할 만하다. 5년 전 41개에 그쳤던 관련업체는 지난해 146개로 늘었고 고용인원도 689명에서 9,151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올해는 이보다 28% 늘어난 1만1,715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매출과 수출도 폭발적인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5년 전 1,394억원이던 매출액은 지난해 4조275억원으로 무려 29배 증가했고 올해는 지난해의 2배 수준인 8조699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기간 동안 수출은 6,500만달러에서 지난해 20억4,000만달러로 31배나 늘었으며 올해는 46억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화석연료의 고갈과 가격 급등, 지구온난화 문제 등으로 신재생에너지 산업 전망은 밝을 수밖에 없다. 오는 2020년 세계 신재생에너지시장 규모는 1조달러에 달해 반도체ㆍ디스플레이에 버금갈 것으로 예상된다. 선진국은 물론 중국 등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 육성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도 이명박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에 따라 태양광ㆍ풍력 등 15개 분야를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그러나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려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72%에 그친 관련설비의 국산화 수준을 높이는 일이 시급하다. 특히 투자비중이 높은 태양열 설비의 박막태양전지 국산화율은 33%에 불과한 실정이다. 전반적인 기술수준은 선진국과 10년 정도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 같은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 투자를 더욱 늘리고 민간 부문과의 협력을 통해 원천 핵심기술을 많이 확보해야 한다. 아울러 부품 국산화율 제고 차원에서 국산부품 사용에 대한 우대정책 등 지원도 확대해나갈 필요가 있다.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가 시행되는 2012년 이후 도입한다는 보호육성책을 앞당기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