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파이퍼 백악관 선임고문은 1일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순방 일정을 진행하길 바라고 있지만 셧다운이 장기화할 경우 일정을 줄이거나 취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리언 패네타 전 국방장관도 “정부가 문을 닫은 마당에 대통령의 출국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현재로서는 순방 일정에 변화가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그러나 현지 언론들은 국내 정치상황에 따라 순방 취소가 불가피할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전문가들은 이번 순방 일정이 취소 혹은 축소될 경우 오바마 행정부가 우선시하는 외교정책인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재균형’(pivot to Asia) 전략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협상에 대한 논의는 물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리커창 중국 총리 등과의 회동도 무산될 수 있다.
피터 오재그 전 백악관 예산국장은 “오바마 대통령이 순방을 가면 국내 문제가 생기고, 가지 않으면 외교 문제가 생기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