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가난한 농가에서 소를 팔아 자식을 대학에 보내던 시절에는 대학이 곧 '우골탑'이었지만 현재 대학은 부모의 등골을 빼서 세우는 '등골탑'이 됐다. 이러한 경제부담은 '등골 브레이커(breaker)'라는 말을 낳기도 했다. 보육비ㆍ교육비ㆍ등록금 등 부모의 어깨를 짓누르는 부담이 너무 커 결국 등골을 부서뜨린다는 의미다.
맘(엄마)시리즈와 아빠 시리즈도 유행이다. 성적이 아닌 잠재력을 보고 신입생을 선발하겠다는 입학사정관제는 '엄마사정관제'라는 또 하나의 신조어를 만들었다. 부모(엄마)의 재력과 정보에 따라 자녀의 스펙이 좌우된다는 얘기다. '카페맘' '아카데미맘'처럼 자녀를 학원에 보내고 카페 등 특정 장소에 모여 사교육 관련 정보를 나누는 엄마들을 지칭하는 말도 있다.
맘시리즈가 주로 교육열을 담고 있다면 아빠 시리즈는 교육비를 책임져야 하는 아빠들의 경제적 부담을 반영한다. 명절이나 휴가 등 1년에 한두 번 가족을 만나러 가는 '기러기아빠'부터 등이 휘도록 일해도 비행기 값이 없어 가족들을 만나러 가볼 수조차 없는 '펭귄아빠', 재력이 든든해서 가족이 보고 싶을 때 언제든지 바로 가볼 수 있는 '독수리아빠', 해외로 보낼 형편이 안돼 강남에 소형 오피스텔을 얻어 아내와 자식만 강남으로 유학 보낸 '참새아빠' 등이다. 자녀를 대치동에 있는 초등학교에 보내고 싶어 대치동에 전세를 얻어 이사하는 '대전(대치동 전세)동 아빠'도 현대판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로 유명하다.
점점 치열해지고 있는 대학입시의 어려움을 빗댄 '고3 죽음의 삼각형'이라는 말은 입시를 위해 필수로 준비해야 하는 수능ㆍ학생부ㆍ논술을 일컫는다. 최근에는 여기에 입학사정관제가 추가돼 '고3 죽음의 사각형'이 됐다.
인터넷강의, 즉 '인강'을 수강하는 학생이 급증하면서 '인강증후군'이라는 말도 나왔다. 학교 수업을 들을 때 선생님의 느린 말을 2배속으로 듣고 싶거나 이해가 잘되지 않을 경우 되감기를 통해 다시 듣고 싶은 답답함을 반영한 신조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