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7.36포인트(0.06%) 떨어진 1만3,164.78포인트에 거래를 끝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1.60포인트(0.11%) 오른 1,405.53포인트를, 나스닥 종합지수는 13.95포인트(0.46%) 상승한 3,030.93포인트를 각각 기록했다.
경기 지표가 다소 엇갈렸으며 특히 뉴욕주의 제조업 지수가 부진한 데 이어 소비자물가가 것으로 나타나 추가 부양책 시행 여부가 다시 관심사가 됐다.
미국 뉴욕주의 제조업 지수는 10개월 만에 위축세로 돌아섰다.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은 8월 엠파이어스테이트(뉴욕주) 제조업지수가 -5.85를 기록했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는 전월의 7.39는 물론 시장 전문가들의 예측치 6.5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뉴욕주 제조업지수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으로 경기 침체에 따른 신규 주문 감소 때문으로 풀이됐다.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는 0을 기준으로 0 미만이면 경기 위축을, 0을 넘어서면 경기 확장을 각각 의미한다. 미국의 전체 제조업 경기를 보여주는 공급관리자협회(ISM) 제조업지수보다 먼저 발표돼 미국 제조업 경기를 예측하는 잣대로 활용된다.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2개월째 변동 없이 안정세를 이어갔다. 미 노동부는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과 비교해 변화가 없었다고 밝혔다. 이는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치 평균(0.2%)보다 낮은 것이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물가가 안정세를 유지함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다음 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추가 부양책을 내놓을 수 있는 여지가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FRB가 발표한 미국의 7월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0.6% 증가했다. 이는 마켓워치가 취합한 전문가들의 전망치와 같은 수준이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