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김한표 새누리당 의원은 13일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중기청은 골목 상권 살리기의 핵심 정책으로 나들가게 제도를 도입, 2010년부터 올해 6월까지 750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연도별로 2010년 110억, 2011년 215억4,000만원, 2012년 334억2,000만원, 2013년 34억4,000만원, 올해 1∼6월 56억5,000만원이 지원됐다.
나들가게로 지정된 동네 슈퍼는 2010년 2,302곳으로 시작해 2014년 6월 현재 8,925곳으로 늘었다.
그러나 나들가게 가운데 폐업하거나 지정을 취소한 동네 슈퍼가 지난 6월말까지 1,086곳에 달해 12%의 폐업률을 보였다.
연도별로는 2011년 205곳, 2012년 102곳에 머물다가 2013년 593곳, 2014년 1∼6월 186곳으로 급증했다.
이는 나들가게 지원이 개점 초기에 집중된 반면 지속적인 사후 관리로는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나들가게 예산 중 83.9%(629억7,000만원)가 개점 지원에 투입됐으며, 사후 관리에는 2.1%(15억5,000만원), 인프라 구축에는 14%(105억3,000만원)가 지원되는 데 그쳤다.
실제로 점주가 꼽은 폐업 이유도 경영 악화가 91.0%에 달했다. 건강 악화는 8.9%, 자연 재해는 0.1%였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