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익 스피킹 등 영어 말하기 시험 다양=영어 말하기 시험에는 토익 스피킹(TOEIC Speaking), 오픽(OPIc), ESPT, G-TELP 등이 있다. 토익 스피킹은 세계적인 비영리재단인 ETS에서 개발했으며 한국에서는 한국토익위원회가 주관하고 있다. 시험은 총 11개 문항으로 약 20분 정도 소요된다. 일상생활이나 업무와 관련된 내용을 주제로 지문 읽기, 사진묘사, 질문 듣고 답하기, 해결책 제시하기 등의 유형으로 진행된다. 시행방식은 IBT(Internet-based test), CBT(Computer-based, test), MBT(Mobile-based test) 등이 있다. ETS인증 센터 컴퓨터의 인터넷을 통해 문제가 송신되고 응시자는 컴퓨터 상에서 음성을 녹음하거나 문장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시험을 치르게 된다. 시험접수는 홈페이지(www.toeicswt.c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할 수 있으며 성적확인은 시험 응시일로부터 약 2주 후에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현재 토익 스피킹은 삼성그룹을 비롯해 LG전자, 포스코, 현대중공업그룹 등 국내 250개 기업에서 활용하고 있다. 오픽(OPIc)은 미국의 언어능력평가기관인 ACTFL(전미외국어교육협회)과 크레듀가 공동 개발한 시험이다. 상황별 질문에 대해 응시자가 영어로 답변하면 인터뷰 내용이 녹음파일로 저장되어 ACTFL 공인어학능력 평가자가 평가 후 결과를 통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험시간은 약 40분으로 12~15개 문항으로 이뤄져 있다. 평가는 절대평가 방식으로 측정되며 성적은 시험일로부터 7일 후 온라인으로 확인 가능하다. 접수는 홈페이지(www.opic.or.kr)를 통해 할 수 있다. ESPT (English Speaking Proficiency Test)는 국가공인 영어 말하기 자격시험으로 ESP평가아카데미에서 개발했으며 에듀박스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 시험은 IBT 방식으로 동영상을 통해 언어적 능력뿐 아니라 응시자의 표정, 제스처 등 비언어적 능력을 총체적으로 관찰해 평가한다. 정기시험은 매월 둘째 주와 넷째주 토요일에 시행된다. 접수는 인터넷(www.espt.org) 또는 방문을 통해 할 수 있다. G-TELP(General Tests of English Language Proficiency는 ITSC(국제테스트연구원)에서 개발한 구술시험으로 11개 파트에서 약 30여 개의 질문에 대해 답변하는 방식으로 40분 간 진행된다. 내용, 문법, 유창도, 발음 등 총 6개 분야를 평가하며 성적은 시험일로부터 약 3주 후에 받을 수 있다. 접수는 홈페이지(www.gtelp.co.kr)를 통해 하면 된다. ◇주요 그룹 도입 잇따라=삼성그룹은 올 상반기 공채부터 입사지원 때 토익 스피킹(TOEIC Speaking)이나 오픽(OPIc) 점수 제출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지난 해까지 채용과정 중 하나로 오픽 테스트를 실시했던 CJ그룹은 올 대졸 신입공채부터 오픽 테스트 대신 토익 스피킹이나 오픽 성적 제출로 대체했다. 올 상반기까지는 역량면접 합격자에 한해 영어회화 성적을 제출토록 하고 있으며 하반기부터 입사지원서 작성 시 영어회화 성적 기입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신입공채에서 원어민과 영어면접을 실시해왔던 두산그룹은 지난해 하반기 신입공채부터 토익 스피킹이나 오픽 등 말하기 시험 성적 미제출자에 한해 1차 면접전형으로 오픽 테스트를 치르고 있다. 올 하반기 신입공채부터는 영어 말하기 평가점수 제출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STX그룹은 입사지원 단계에서 토익, 텝스 등 기존의 공인어학점수와 함께 영어회화테스트 점수를 함께 적용하고 있다. 토익 스피킹 점수와 오픽, ESPT 점수를 인정하고 있으며, 이들의 성적을 제출할 경우 영어회화 테스트 전형을 면제해주고 있다. 이밖에 한화그룹은 신입공채에서 ESPT 등 국가공인말하기 평가 성적 제출한 지원자를 우대하고 있다. ◇말하기 시험은 표현력이 중요=읽기와 듣기 등의 이해능력을 요구하는 기존의 공인어학시험과 달리 영어 말하기 시험은 표현력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이야기를 구성하기 위해 사물이나 사람, 상황에 대한 상세한 묘사와 서술 능력을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며 생활 속에서 영어를 표현해보려고 꾸준히 시도하는 것이 좋다. 또 거울을 보면서 연습하거나 자신의 답변을 녹음해 발음을 교정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때 발음, 억양, 태도 등을 교정하고 음성의 강약과 강조점, 포즈 등을 살펴보도록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한 연습이다. 지속적인 작문 훈련을 통해 조리 있는 의사전달 연습을 하고 관련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영어표현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영어 말하기 시험 성공 5계명
1) 여러 가지 상황별로 일대일 대화 연습을 해라 2) 말하는 연습을 할 때 녹음한 후 듣고 교정해라 3) 생활 속에서 영어로 표현해보려는 시도를 꾸준히 해라 4) 관심사 위주로 먼저 공부해라 5)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는 작문훈련을 길러라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