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의 수출제한 조치는 가뜩이나 들썩이고 있는 국제곡물 가격 폭등세로 이어질 게 뻔한 일이다. 국제 밀 가격은 우크라이나의 수출중단 소식이 전해지자 하루 만에 0.5%나 올랐고 옥수수 등 다른 곡물까지 덩달아 출렁이고 있다. 미국 등 선진국의 금융 양적완화 조치가 투기세력 개입까지 부추기다 보니 세계경제에 치명타를 안겼던 지난 2010년의 곡물파동이 재연될 것이라는 우려마저 높아지고 있다.
국제사회는 각국의 무분별한 수출통제를 막기 위한 글로벌 공조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저마다 자국이기주의에 빠져 일방적인 수출제한 조치에 나선다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곡물 가격 상승은 각국의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중앙은행의 정책수단을 제한하는 등 심각한 경제적 파장을 초래하기 마련이다. 주요20개국(G20)이 광범위한 정보를 공유하면서 교역제한을 자제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세계무역기구(WTO) 같은 국제기구에서 식량 문제를 공식 의제로 논의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식량 자급률이 낮은 우리나라로서는 무엇보다 충격 최소화에 힘써야 한다. 국제곡물 가격 급등이 국내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애그플레이션은 연말부터 우리 식탁에 본격적인 한파를 몰고 올 것으로 보인다. 식료품 가격은 생활물가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서민들의 고통이 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정부는 특정 국가에 몰려 있는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해외 유통채널과 곡물 메이저를 키워 안정적인 수급대책을 확보해야 한다. 차제에 해외 식량기지를 확보하고 식량 자급률을 높이는 중장기적 전략도 새롭게 다듬을 필요가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