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신설노선과 적자 노선 등을 사들여 공영제로 전환하는 방안도 내놨다.
김 전 교육감은 20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무상버스의 구체적인 실현방안을 발표했다.
도입 첫해인 2015년에는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무상버스를 운영하기로 했다. 노인은 연간 519억원, 장애인은 6억원, 초중학생은 431억원 등 956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김 전 교육감은 오는 2016년에는 고등학생으로 무상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소요비용은 768억 원으로 추계했다.
비혼잡시간 무상버스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부주·대학생·구직자 등이 주된 대상인 비혼잡시간 무상버스는 2017년 시작하는 첫해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 3시간, 그다음 해에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4시간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각각 961억 원과 1,58억 원이 소요된다고 했다.
김 전 교육감이 제시한 무상버스의 소요 예산은 첫해인 2015년 956억원, 2016년 1,725억원, 2017년 2,686억원이 소요된다.
그는 신설노선, 업체가 운영을 포기한 노선, 적자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누적된 노선을 우선 공영제로 전환하고 경기이동자유공사(가칭)을 설립해 신설노선을 직접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경기이동자유공사 운영비는 연간 100억 원 이하 규모에서 시작하기로 했다.
김 전 교육감은 “버스공영제는 이미 글로벌스텐더드가 됐고 버스의 무상 화는 대중교통의 현대적 흐름이 되고 있다”며 “무상버스는 복지국가를 향한 또 하나의 소중한 전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