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들은 고졸인력을 적극 채용하려고 하지만 사람 구하기가 어렵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금융권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고졸 채용이 러시를 이루다 보니 공공기관에는 지원자가 많지 않아 인력확보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공공기관이 1ㆍ4분기에 뽑은 고졸 청년인턴이 772명으로 전체의 12.5%에 머물러 정부 권고치(20%)를 크게 밑돈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그러다 보니 고졸 인력채용을 아예 포기하거나 불가피하게 대졸자로 바꾸는 사태도 빚어지고 있다고 한다.
정부가 열린 고용정책을 추진하면서 공공 부문과 민간기업들의 구인수요는 폭증하고 있지만 정작 취업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적어 심각한 고졸 품귀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한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졸업자는 11만여명에 이르지만 대학진학이나 군입대 등을 제외하면 실제 취업이 가능한 학생은 3만여명에 미치지 못한다. 취업희망자만을 따지면 실제 취업률이 이미 90%에 이를 정도여서 앞으로 고졸 구인난은 갈수록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모처럼 불고 있는 고졸 채용바람이 중장기 경제발전에 순기능으로 작용하려면 인력수급 전반에 대한 확실한 청사진부터 마련해야 한다. 자칫 고졸자들이 특정 분야에만 몰리면서 전체적으로 인력수급시장이 왜곡될 우려도 있다. 대기업 문호가 개방되면서 중소기업 정도는 학생들의 눈에 들어오지도 않는다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정부는 다양한 분야의 마이스터교 설립을 확대하고 특성화교에 대한 지원과 혜택을 늘려 양질의 인력을 충분히 공급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지역이나 분야별로 학교와 기업 간의 매칭시스템을 구축하고 현장맞춤형 교육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기업이나 공공기관도 성적이나 학교장 추천 등 까다로운 자격제한을 과감히 폐지하고 적절한 직무 재교육과 보상체제를 갖추도록 힘써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