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를 원하는 노인은 120만명을 넘지만 정부가 제공하는 일자리는 20만개에 불과합니다. 노인인력 문제를 해결하려면 결국 민간에서 이들을 적극 고용해줘야 합니다."
박용주(사진) 노인인력개발원장은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핵심은 민간 부문에 있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정부는 2017년까지 노인 일자리를 43만개까지 늘릴 계획이지만 마냥 늘리기에는 재정적으로도 한계가 있고 높은 보수를 보장하기도 어렵다"며 "괜찮은 일자리는 결국 민간 분야에서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노인 일자리 사업에서도 정부가 직접 제공하는 공익형 일자리는 월급이 20만~30만원에 그치지만 민간 시장과 연계해주는 시장형 일자리는 평균 70만~100만원에 이른다.
박 원장은 이를 위해 노인은 잉여인력이라는 인식부터 바꿀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개발원이 민간기업에서 노인을 인턴으로 채용하도록 하는 시니어인턴십 사업을 운영한 결과 많은 기업들이 노인인력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있습니다. 노인들이 젊은 층보다 성실하고 꼼꼼해서 경쟁력이 있다는 겁니다. 이들 기업은 인턴십을 운영한 후 사업과 별개로 노인인력을 채용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 대형마트에서는 시니어인턴십 이후 1,000명의 시니어 사원을 새로 채용하기도 했습니다. 노인빈곤은 국가적 문제인 만큼 기업도 노인인력 채용에 전향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습니다."
박 원장은 노인정책을 총괄할 컨트롤타워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개발원이 지난 3월부터 부산에서 노인의 사회참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종합지원시스템을 시범 운영한 결과 노인들의 서비스 만족도가 눈에 띄게 올랐다"며 "국가 차원에서 노인 복지ㆍ일자리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트롤타워를 만들어야 노인정책을 효율성 있게 추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 원장은 노인인력 활성화는 단순히 노인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5년 뒤면 생산가능인구가 줄기 시작해 노인인력을 사용하지 않을 수밖에 없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이런 고령화 시대에 노인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춰놓지 못하면 경제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