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포켓이 감소하면 배 안에 살아있을지 모르는 탑승자가 생존할 확률이 그만큼 낮아진다.
백점기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그동안 배가 떠있었던 것은 에어포켓이 있어서 부력이 생겼기 때문이다. 배의 무게와 부력이 같아서 배가 가만히 있었던 것인데 배가 가라앉았다는 것은 공기가 없어져 부력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백 교수는 “물에 떠 있던 부분과 물속의 객실 일부분에 에어포켓이 있었을 것”이라면서 “물밑에 있지만 완전히 침수되지 않은 공간에 물이 스며든다든지 해서 부력이 감소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물에 잠기지 않은 공간이 없어지면서 가라앉기 시작한 것 같다. 조류의 영향으로 배가 가라앉을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아직 사고 선박이 밑바닥까지 완전히 가라앉았는지는 알 수 없으므로 에어포켓이 줄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장범선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명예교수는 ”공기를 주입해서 배가 떠오르길 바랐는데 더 내려갔다“고 아쉬워하면서 ”배가 드러누운 형태라면 에어포켓이 그대로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