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 2012년 건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순위를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는 종합평가 73.8점으로 조사 대상 23개 국가 가운데 7위를 기록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2011년의 9위에서 2단계 상승한 것이다.
미국과 중국은 2011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각각 종합평가 1ㆍ2위를 차지했다.
글로벌 건설시장의 경쟁 능력인 국가별 건설인프라 경쟁력 지표는 중국이 1위, 미국이 2위였고 한국은 10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건설리스크는 8위에서 4위로 높아졌으나 국내 건설경기 침체로 건설시장 성장률 항목은 7위에서 16위로 하락했다.
건설기업의 경영능력 성과를 가리는 국가별 건설기업 역량 평가는 미국이 1위, 이탈리아가 2위였으며 한국은 2011년보다 5단계 상승한 7위로 조사됐다. 특히 시공경쟁력은 1년 새 12위에서 8위로, 설계경쟁력은 19위에서 10위로 각각 올라섰다.
이화순 국토부 건설기술정책관은 "지난해 해외매출이 급증하면서 시공ㆍ설계경쟁력에서 큰 성장을 했다"고 말했다.
이번 평가는 통계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23개국(2011년은 22개국)을 선정해 국내외 통계기관에서 발표하는 세부지표와 관련된 정량적 자료를 수집한 뒤 데이터 표준화와 가중치 적용을 거쳐 평가점수를 산출해 순위를 결정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