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위험관리를 잘한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들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경기가 좋을 때는 공격적인 사업 확장이 빛을 보지만 반대의 경우에는 부메랑이 돼 돌아오기 때문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대형업체 중에서는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등의 위험관리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물산은 대구의 1개 사업지를 제외하고는 지방 사업지가 없다. 2~3년 전부터 지방의 주택사업을 자제하고 서울 재개발ㆍ재건축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 삼성물산의 한 관계자는 “4~5년 전에 위험 관리 팀을 만들어 수주심사를 최대한 보수적으로 하고 있다”며 “지방 미분양 물량은 600~700가구가량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반면 또 다른 대형업체인 D사와 G사는 수천가구 이상의 미분양에 발목이 잡혀 있는 상황이다. 아파트 사업 진출이 다소 늦었던 현대건설은 포트폴리오가 잘 분산돼 있어 안정적이다. 전체 매출액 중 해외와 국내의 비중이 30대70으로 이 중 국내 매출은 토목(26%), 건축(43%), 플랜트(30%) 등으로 세분화돼 있다. 현대건설의 한 관계자는 “미분양은 현재 분양 중인 용인을 제외하면 1,000가구 안팎”이라며 “수 십년간 포트폴리오를 분산한 것 자체가 위험관리”라고 말했다. 타 대형 건설업체는 올 상반기에 현금 흐름이 악화된 것과 달리 현대건설은 연초에 비해 6월 말 현재 현금이 171억원가량 증가했다. 중견업체들도 희비가 갈렸다. 일부 업체들은 미분양 및 해외사업 때문에 꼼짝할 수 없는 상황에 처했지만 우남ㆍ호반ㆍ중흥건설 등은 비교적 여유로운 모습이다. 호반건설의 한 관계자는 “내년이면 창립 20주년이 되는데 지금까지 단 한장의 어음도 발행하지 않았다”며 “또 기존 사업지가 80% 이상 완료되지 않으면 신규 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우남건설도 지난해부터 어음을 발행하지 않고 있다. 지난 1990년대 말 외환위기 때 어음을 무리하게 발행하면 유동성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우남의 한 관계자는 “어음은 물론 프로젝트 파이낸싱(PF)도 최대한 받지 않으려고 하고 있다”며 “실적을 위한 사업은 하지 않고 사업성이 좋은 곳 위주로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