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유혈폭력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거론되는 것이 사건과 영화의 모방범죄 상관 가능성이고 이때마다 지탄을 받는 것이 할리우드의 폭력영화다. 버지니아텍 살육사건 때도 범인 조승희가 두 손에 망치를 든 사진이 TV로 나가자 뉴욕타임스는 박찬욱의 '올드보이'에서 주인공 대수가 오른 손에 망치를 치켜든 모습과 같다며 상관 가능성을 내비쳤었다. 또 콜럼바인 총격사건의 장본인들인 2명의 10대가 사건 당시 '메트릭스'의 주인공인 키아누 리브스처럼 긴 망토를 입어 역시 영화를 모방한 범죄라고들 했다. 그리고 레이건을 저격한 존 힝클리 주니어도 '택시 운전사'의 사이코 트래비스 빅클을 모방했다는 말을 들었었다. 그런데 살인범들이 자기가 저지른 사건을 실제로 영화 내용을 따라 했다고 고백한 경우가 있었다. 스탠리 큐브릭의 '클라크웍 오렌지' 경우 영국의 10대들이 영화에서처럼 '빗속에 노래하며'를 부르면서 소녀를 강간했고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에서는 역시 영화처럼 3명의 10대들이 재미로 노숙자를 불태워 죽였었다. 이 때문에 큐브릭은 자기 영화를 25년간 영국에서 상영 금지시켰었다.
'이런 센세이셔널 한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책임 소재를 놓고 총이냐, 사람이냐 아니면 폭력영화냐 하는 논란이 일어나곤 한다. 전문가들은 우선 청소년의 범행을 막기 위해선 부모의 가르침이 중요하다고 역설한다. 폭력이라면 사족을 못 쓰는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도 "아이들에게 폭력영화를 보여주느냐 마느냐 하는 문제는 전적으로 부모에게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도 과다한 폭력을 절제할 줄 아는 책임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러나 폭력이든 섹스든 돈 벌이만 잘 되면 서슴지 않고 과용하는 할리우드에겐 이런 조언은 마이동풍식 공언에 지나지 않는다. 대형 총기사건이 날 때마다 총기 규제론이 거론되곤 하지만 총으로 나라를 세우고 헌법에 총기소지 권리를 명기한 이 나라에서 강력한 총기규제를 입법화 하기는 힘들다는 것이 공론이다.
오로라 총기 난사 사건이 나자 오바마와 롬니는 선거전 상호 공방을 중단하고 반성과 조의의 시간을 가지자고 말하면서도 총기규제엔 대해선 일절 언급이 없었다. 그런 소리했다간 낙선하기 안성맞춤이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