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호황기에 우후죽순 생겨났던 지방 건설 관련 공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은 당장 해결해야 할 과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부채 규모가 큰 지방 공기업 10곳 중 절반인 5곳이 건설 관련 공기업이었다. 가장 많은 부채를 지고 있는 곳은 SH공사(18조3,350억원)다. 경기도시공사(8조4,356억원), 인천도시공사(7조9.271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SH공사의 부채비율은 346%에 달했으며 경기도시공사와 인천도시공사도 321%와 356%였다. 통합 후 3년째 사업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비슷한 수준이다. 실제로 지방자치단체 도시개발공사의 부채는 2007년 이후 5년이 채 안 돼 21조원이나 증가했다.
부동산 가격 급등기에 우후죽순 생겨난 시ㆍ군 단위의 기초자치단체 산하 공사는 더 큰 문제다. 용인도시공사는 현재 진행하는 개발사업 3건이 모두 난항을 겪고 있다. 처인구 역북도시개발사업은 공동주택용지 토지 분양률이 20%에도 못 미쳐 채권 1,900억원의 상환을 3년 연장했으며 구갈역세권 개발사업과 덕성산업단지 개발사업 역시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지방 선거에서 남발한 선심성 공약 때문인 경우가 많다"며 "사업 결정 방식이나 추진 방식 등 구조가 개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도시개발공사 간 통폐합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도시개발공사로서의 존립 가능성이 어려운 곳은 없애고 사업성에 대한 철저한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사업성 평가 후 공기업이 꼭 나서야 하는 일이 아니라면 과감하게 민간에 사업을 이양하고 지방 공기업은 지방 주거복지 등 지방정부의 주택과 건설정책을 수행하는 역할을 중심으로 구조를 재편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 민간연구소 관계자는 "지방 도시개발공사 부실화가 심해지면 지방의 주거복지나 공공주택정책이 제대로 집행되기 어려워진다"며 "지방정부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에서도 관심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