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학생이 갈수록 늘면서 한국어와 중국어를 동시에 수업에 활용하는 초등학교 교실이 다음달 처음으로 선보인다. 두 명의 교사가 동시통역으로 수업을 하는 이중언어 교실은 중국어뿐 아니라 베트남어나 몽골어 등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돼 다문화 교육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조희연 서울교육청 교육감은 13일 서울 종로구 서울교육청 2층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세계시민·다문화교육 정책'을 발표했다. 특히 이번 정책에는 이중언어 시범교실 운영이 담겨 있어 눈길을 끈다. 한국어 정규 교사와 함께 중국어를 하는 교사가 교실에 투입돼 동시통역 형태로 교과수업이 진행된다. 이외에도 정규시간이나 방과후 교실로 한국어 특별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신청한 학생을 대상으로 방과후학교 수업을 중국어로 진행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서울교육청은 2학기가 시작되는 8월 중순부터 다문화 학생이 전교생의 10%가 넘는 구로·금천·영등포구 등의 초등학교 10곳 내외를 대상으로 이중언어 교실을 시작할 계획이다. 서울 지역 다문화 초·중·고 학생은 매년 증가세를 거듭해 지난해 1만명을 넘어섰다. 특히 구로·금천·영등포구의 경우 서울 전체 다문화 가정 학생 중 20%에 달하는 2,029명이 재학 중이다. 다문화 가정 학생은 중국어권(조선족 포함)이 4,302명으로 가장 많고 △일본 △베트남 △필리핀 △몽골 순으로 조사됐다.
조 교육감은 "일부 학교의 경우 전교생의 40%가 넘는 학생이 다문화 가정 아동인데 학부모들이 이 학교에 자녀 보내기를 꺼린다"며 "(이 정책을 통해) 이중언어를 배우게 하기 위해서라도 부모들이 학생들을 이러한 시범학교에 보내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일종의 '역발상'으로 다문화 가정 학생이 한국어를 배우는 것처럼 한국 학생도 중국어 등 다문화 가정 친구가 사용하는 언어 또한 배워야 하는 대상으로 인식하도록 전환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교육청은 시범 운영 성과에 따라 운영학교 수를 늘리거나 이러한 이중언어 수업 모델을 중·고등학교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또 몽골어·베트남어로도 이러한 이중언어 수업 모델을 확대할 방침이다.
서울교육청은 세계시민으로서 배워야 할 공통의 교육을 위해 경기·강원·인천 교육청과 함께 세계시민 교과서도 개발하기로 했다. 공동으로 개발하는 교과서에는 인권, 평화, 문화 다양성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나아가 광복 70주년을 맞아 동아시아 공통의 역사와 평화를 위한 노력 등을 담은 '동아시아 평화 교과서'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이들 교육청은 현재 1차 협의회를 마쳤고 이후 논의를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