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회 정보위는 그야말로 ‘비밀위원회’”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미국 상·하원 의회의 정보위 활동 방식을 소개하면서 “정보위는 의회 건물 지하실에 있고 입구는 완전히 봉쇄돼 있다”며 “들어갈 때는 빈손으로 가야 하고, 거기서 논의된 모든 이야기들은 밖에 나와서 한 마디도 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정보위는 완전 공개 위원회다. 중간 브리핑 하고, 끝나고 브리핑 하고, 의원들은 (자료를) 들고 나갔다 들고 나오고 (브리핑 내용을) 적어서 갖고 나오고…. 다 공개된다”고 지적했다.
이 최고위원은 “국정원은 비밀리에 활동해야 한다”며 “해킹 프로그램 (구입 사태의) 내용은 잘 모르겠지만, 어떻게 구입하고 어떻게 사용했는지 비밀 조사하고 결론을 내야 한다. 법을 위반한 일이 있으면 최종 책임을 물으면 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것을 밖으로 꺼내 놓고 정치 쟁점화하고, 정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단기적으로는 자기 당에 좀 유리할지 모르지만 국가 안보를 크게 손상시키는 일”이라며 “야당은 지금이라도 철저히 비공개로 사실을 확인하고 문제를 확인하는 활동해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는 다른 상임위와 달리 전체회의 때에도 완전 비공개로 진행되지만, 관례상 여야 간사가 일부 내용을 언론에 브리핑 해준다. 14일 정보위에서 국정원의 해킹 프로그램 구입과 관련한 보고를 받은 뒤 새정치민주연합이 이를 언론에 브리핑하고 진상조사특위를 구성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자 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어 발언에 나선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국정원이 지난 2012년 대북 해외정보활동 및 해킹프로그램 연구를 위해 구매한 연구개발용 프로그램에 대해 야당은 명확한 근거도 없이 ‘민간 사찰용’이란 의혹을 제기하면서 사찰정국을 몰려고 한다”며 “야당은 국익과 국가안보를 위해 당리당략과 정쟁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