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기 고려시대의 청자운반선이 해저 발굴로 모습을 드러낸 적은 있으나 조선시대의 배는 아직까지 한 척도 확인된 바가 없다. 이에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성낙준)는 ‘조선시대 그림 속의 옛 배’라는 주제의 특별전을 오는 8월 17일부터 10월 3일까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단원 김홍도가 그린 나룻배 그림을 비롯해 조선의 화원들이 남긴 50여 점의 작품과 그림 속 배 모형을 함께 전시한다.
왕실은 물론 관아와 양반, 서민들의 생활문화 속에 배가 어떤 의미로 등장했는지를 알아볼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 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EBITDA마진율 = (EBITDA ÷ 매출액)*100%
구독
회원님은 부터 “asdf”를 구독하고 계십니다.
아래 ‘구독취소’ 버튼을 클릭해서 구독을 ‘취소’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구독 취소의 효과는 “”에 한정되며, 서울경제 뉴스레터 수신에 대한 설정값이나 다른 뉴스레터 수신여부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