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회·경제적지위 높아졌지만 여성, 삶의 만족도는 낮아"
입력2008-11-02 17:07:53
수정
2008.11.02 17:07:53
한국여성정책姸 보고서
건국 이후 60년간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꾸준히 상승했지만 선진국 수준에는 여전히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안상수ㆍ민현주 연구원이 2일 발표한 ‘지표를 통해 본 한국 여성 삶의 변화’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아지고 사회진출ㆍ경제참여도 활발해졌지만 남성과의 격차가 여전히 크고 삶에 대한 만족도도 높지 않았다.
여성의 고용률은 1970년 38.2%에서 2007년 48.9%로 높아졌지만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20년 전 수준에 그쳤다. 20~25세 여성의 고용률은 2000년 54.9%에서 지난해 59.6%로 약간 늘었지만 30~40대는 52~54%(미국 70~75%)로 정체상태를 보였다.
전체 여성인구 중 고졸자가 1966년 5%에서 2005년 32%로, 대졸자가 1% 미만에서 20%로 늘어나고 사회경제활동도 활발해졌지만 형평성은 미흡했다.
2006~2007년 가구주 가운데 저소득층의 비율은 여성이 53~55%로 남성(19% 대)의 2.9배 수준이었다. 이에 따라 2004~2007년 사이 여성의 개인별 연간 소득이 평균 75%(1,200만→2,100만원) 늘어나 남성의 증가율 58%(2,600만→4,100만원)를 웃돌았지만 금액 면에서는 남성의 절반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저임금 근로자의 비율도 여성은 2001년 44.9%, 2002년 51%에서 지난해 35.1%로 낮아졌지만 같은 기간 14% 안팎을 유지한 남성의 2.5배를 웃돌았다.
사적 영역에서 여성들이 느끼는 개인적 만족도도 남성보다 낮았다. 남성은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중간층(56.7%)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여성의 59.5%는 자신을 하층으로 인식했다.
한편 공직에서의 여성 지위 향상은 빠른 속도로 진행됐다. 고위직 공무원의 등용문인 주요 고시에서 여성 합격자 비율은 행정고시가 1992년 3.2%에서 지난해 49%(외무고시는 10→67.7%)로, 사법고시가 1995년 8.8%에서 지난해 35%로 높아졌다. 의사 가운데 여성의 비율도 1962년 14.6%에서 2005년 19.7%로, 치과의사는 6.8%에서 23%로 늘었다.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