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의 존 체임버스 국가신용등급 위원장은 8일(현지시간) S&P가 지원하는 웹캐스트 방송에 나와 "지금 미국에 필요한 것은 단기적 차원의 재정긴축 조치들이 아니라 신뢰할 수 있는 중기적 재정계획"이라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그는 또 미국이 1조 달러대의 연간 재정적자를 줄이려는 계획을 내놓지 않고 있다면서 "(미국에 필요한 ) 중기 재정계획은 재정지원과 수입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체임버스 위원장은 미국 신용등급이 또 강등될 가능성이 3분의 1이라면서 "지금부터 11월 대선 때까지 어떤 일도 벌어질 것 같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지난해 8월 미국 신용등급 강등의 이유로 지목했던 정치적 벼랑 끝 전술(brinkmanship)이 여전히 남아있다"면서 "이는 다른 'AAA' 등급 국가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S&P는 지난 해 8월 5일 미국 정부가 재정적자 감축을 위한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하자 "이런 벼량끝 전술이 나타나는 것은 미국이 덜 안정적이고, 덜 효율적이며, 덜 예측가능한 나라로 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면서 국가신용등급을 최고등급인 AAA에서 AA+로 한 단계 강등시킨 바 있다.
S&P는 당시 신용전망도 '부정적'으로 부여해 6개월~2년 이내에 등급이 추가로 강등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