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 17개 시·도 광역단체장 선거 개표 마감 결과 새누리당은 경기·인천·부산을 비롯한 8곳, 새정치민주연합은 서울·대전·광주를 포함한 9곳에서 각각승리했다.
제1야당에 대해 여당을 견제할 만큼의 입지는 마련해줬지만, 여당을 무너뜨릴 만큼의 ‘지방권력’을 몰아주지는 않았다.
특히 야당이 ‘민심의 바로미터’로 여겨지는 수도권 3곳 가운데 여당에 인천시장 자리를 내주고 서울 1곳만 사수한 것은 전체 승패와는 별개로 여권이 상당히 선방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당초 세월호 참사 정국으로 인해 새누리당으로선 절대적으로 어려운 환경에서 치러진 선거치고는 최악의 결과는 피한 셈이다.
선거 막판 새누리당은 곳곳에서 박빙의 승부가 펼쳐지며 위기에 내몰리자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 투표로 지켜달라”면서 이른바 ‘박근혜 마케팅’에 급피치를 올렸다.
이에 따라 안대희 총리 후보 낙마 파동, 통합진보당 광역단체장 후보들의 잇따른 사퇴 등이 겹치면서 위기에 빠진 보수층의 재결집이 막판에 이뤄진 것으로 풀이된다.
5~10% 정도로 추정됐던 ‘숨은 표’(지지후보를 밝히지 않은 유권자) 중에서도 여권 지지성향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가만히 있으면 세월호처럼 대한민국호가 침몰할 것”이라면서 투표를 통한 정권심판을 호소했지만, 당초 기대치에 비해 만족할만한 결과를 끌어내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 투표율이 56.8%(잠정치)로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새정치연합의 기대치만큼은 나오지 않은 것도 심판론의 제약으로 작용한 것으로 관측된다.
오히려 ‘세월호 심판’ 여론은 광역단체장 선거보다는 교육감 선거에서 표출됐다는 분석도 있다. 17개 시도 교육감중에서 진보성향 후보들이 최대 13곳에서 승리하면서 예상밖으로 보수 후보들이 참패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