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2006~2010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위 점막에 생기는 염증성질환인 위염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수가 2010년 기준 541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2006년 447만명이었던 환자 수와 비교해 100만명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도 2007년 9,428명에서 2010년 1만1,058명으로 연평균 4.1%씩 증가했다. 위염 의 건강보험 진료비 역시 2006년 2,793억원에서 2010년 3,758억원으로 5년간 약 965억원이 증가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 10만명당 환자수가 1만3,665명으로 남성 8,493명에 비해 약 1.6배 많았다. 연령별로는 70대의 10만명당 환자수가 2만269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1만8,138명), 80대(1만5,932명)가 뒤를 이었다. 9세 이하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여성 위염 환자의 수가 남성보다 많았으며, 특히 20대에서는 여성환자수가 남성보다 2.3배 많았다.
원선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스트레스의 증가와 과도한 음주 등이 위염의 주된 원인"이라며 "고령자의 경우 심혈관계 질환이나 통증 등을 이유로 아스피린이나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위염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 교수는 "평소에도 과도한 음주, 피로, 흡연 등을 피하고 규칙적이고 절제된 식사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위염 치료의 예방책"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