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의 경선룰 개정 논의와 검증공방을 지켜보노라면 한나라당 후보가 본선에서 무조건 당선될 것이라고 믿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지금 언론의 머리기사를 장식하고 있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의 탈당도 이 같은 한나라당 분위기와 결코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손 전 지사의 탈당은 그 정당성이나 개인의 성패 여부와는 별개로 한나라당에 상당한 타격을 줄 가능성이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지율로 인해 그가 한나라당 후보가 될 수 없었을지는 몰라도 그의 탈당은 대선구도 전반에 많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정계 개편의 범위가 여권을 넘어서 정치권 전체는 물론 시민사회를 포함하는 화두로 확대됐다. 또 정계 개편의 성격이 여권의 생존차원의 논의가 아니라 한국정치의 전반적 이념구도 재편 논의로 바뀔 가능성이 높아졌다. 일부의 예상대로 정당구도가 진보ㆍ중도ㆍ보수의 구도로 변화할 경우 한나라당은 보수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고, 이는 한나라당 정치기반의 축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 같은 전반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하더라도 한나라당이 영남 중심의 보수일변도라는 지역적 이념적 이미지가 강화되면서 비영남 중도 성향 유권자들의 이탈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벌써부터 여권은 손 전 지사의 탈당을 계기로 한나라당을 지역당ㆍ수구보수당이라고 공격하고 있다. 물론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의 흥행성은 떨어질 것이다. 그나마 존재하던 경선 변수가 사라졌으니 당연한 일이다. 이제 한나라당은 빅2의 대결에 국민들이 식상할 가능성까지 염려해야 할지도 모른다. 이미 여권은 한나라당의 경선을 영남보수 세력끼리의 대결로 규정하면서 김빼기에 나서고 있다. 무엇보다 두번의 대선에서 실패했던 악몽을 떠올리는 한나라당 일각의 분위기가 손 전 지사가 탈당하기 전후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준다고 하겠다. 그러나 경선 룰 개정과정에서 한나라당은 이 같은 심각성을 별로 의식하지 않았던 것 같다. 손 전 지사의 요구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을 뿐 아니라 심지어 그의 자존심을 자극하는 발언까지 나왔던 분위기가 이를 반증한다. 보수성이 강한 한나라당에서 평소에 적당히 개혁적이고 중도진보적인 발언으로 이미지 관리를 하던 소장의원들이 막상 경선국면에 돌입하자 대세론에 영합하는 모습을 보인 것 역시 이 같은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검증공방에서도 ‘한나라당 후보=무조건 당선’이라는 착각을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지우기 어렵다. 검증의 기준은 본선에서의 경쟁력이다. 당내 후보경선과정에서 그냥 넘어간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본선에서 맞붙을 여권이 야당 후보의 공약이나 과거 행적 등에 대해 무차별적인 공격을 할 것은 충분히 예상되는 일이다. 당내 경선처럼 ‘같은 당에서 이렇게까지 할 수 있나’라는 식의 논리가 통할리도 만무하다. 그런데 한나라당의 검증공방을 보노라면 본선에서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검증이 당 차원에서 이루어질지 의문이 든다. 현재 범여권은 여러 갈래로 분화돼 각개약진하면서 다양한 가능성을 논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어떻게 보면 가닥을 못 잡고 심지어 지리멸렬하게까지 보이기도 하지만, 달리 보면 정국 상황의 변화에 따라 신축적으로 대응하면서 다양한 변화를 꾀하는 논의과정으로도 볼 수 있다. 아마도 오는 8월에 야당의 대권후보가 결정되기 전까지는 범여권 연대 내지 통합의 틀을 다양하게 추진하다가, 야권의 후보가 결정되면 이에 대응할 이른바 ‘맞춤형 통합후보’를 추대하는 과정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한나라당은 이유야 여하한 간에 기존의 당내 스펙트럼조차 좁아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나라당의 이른바 대세론이 언제까지 계속될까. 대선까지는 많은 시간이 남아 있고, 변화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그리고 그 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 조승민(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연구위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