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참고서가 필요하지 않은 '친절한 교과서' 개발도 주문했다. 관심이 실로 지대한 것 같다. 청와대 관계자는 교과서 내 출제원칙이 교내시험뿐 아니라 수능 등 모든 대학입시에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반가운 소식이다. 교과서만으로 대학에 갈 수 있다면 망국적인 사교육 수요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지만 적지 않은 저항과 부작용이 우려된다. 아무리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가 담겼다 해도 지시 하나로 해결될 정도로 대학입시는 간단하지 않다. 입시전형만도 3,000개가 넘는다.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교과서 내'라는 게 과연 어디까지인지 궁금해한다. 당장 올해부터 강행될 선택형 수능제도하에서 보다 쉬운 A형과 어려운 B형을 교과서 내에서만 출제할 수 있을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교육당국은 교과서 내 출제의 개념과 한계를 하루바삐 분명하게 제시해야 한다. 참고서가 전혀 필요 없는 '만능교과서'를 만들기도 쉽지 않다. 오히려 교과서의 내용이 많아져 학습부담을 가중시킬 우려도 있다.
설령 그런 교과서가 나와도 대학들이 받아들일지 의문이다. 교과범위 안에서 수능을 출제하면 '물 수능' 논란이 불가피하고 대학들이 변별력 확보를 위해 논술시험의 난이도를 오히려 높일 수도 있다. 지금도 대학생 수준 이상인 논술시험이 더 어려워진다면 새로운 사교육 수요를 부추길 가능성도 없지 않다. 대학의 학생선발 자율권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교과서 내 출제 원칙과 대학입시 논술시험 간 간극을 조정할 수 있을지가 최대 난제로 남았다. 정부는 대학의 이해와 협조부터 이끌어내기 바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