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건동대 재단인 학교법인 백암교육재단이 8월 31일까지 폐교하겠다는 학교 폐지 인가신청서를 지난 11일 제출했다고 15일 발표했다.
2010년 교과부가 경영부실대학으로 지정한 건동대는 올해 감사원으로부터 부당학점(76명)ㆍ학위수여(13명) 취소 및 무단처분 수익용 기본재산 11억 4,000만원 환수 등의 이행 명령을 받았다.
또 교원확보율 미 충족으로 올해 입학정원은 지난해(310명)의 절반수준인 158명으로 감축 당했다.
이에 재단은 학교를 계속 유지ㆍ경영하는데 어려움과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폐지 인가신청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교과부는 학생 및 학교잔여 재산 처리계획을 면밀히 검토해 학교폐지를 인가하고 재학생의 경우 인근 학교로의 정원외 입학을 통해 학습권을 이어가게 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2000년 광주예술대학교와 2008년 아시아대학교가 위법ㆍ부실이 적발돼 강제 퇴출당했고, 2006년 수도침례신학교가 자진 폐쇄한 사례가 있다.
건동대가 퇴출되면 올해 2월 말 공식 폐교한 명신대와 성화대학에 이어 현 정부 세 번째 퇴출대학이 된다. 또 스스로 폐지 인가를 신청한 대학으로는 첫 번째가 된다.
전북 김제의 전문대학인 벽성대학도 학교 폐지 절차를 밟는다.
교과부는 벽성대학에 대해 부당수여 학점(1,424명)과 학위(837명) 취소를 요구하고 이달 말까지 이행하지 않으면 학교폐쇄 조치를 검토하겠다는 학교폐쇄 2차 계고를 했다.
한편 2010년 이후 총 18개교 대학이 경영부실대학으로 지정됐다. 교과부는 지난해 하반기 대학 구조개혁 작업 등을 거쳐 명신대와 성화대학에 대해 폐쇄 결정을 내렸고, 올해 들어서는 선교청대에 6월까지 감사결과 미이행시 학교 폐쇄와 법인해산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