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전에 응암동의 다세대(대지지분 7평, 건평 12평)를 1,700만원에 낙찰받았는데 재개발 이야기가 나오면서 그새 10배 가까이 뛰었어요. 하지만 요즘은 20대까지 경매시장을 넘보는 등 경쟁이 치열해 그 정도 대박 물건을 찾기가 힘들어졌어요.”(경매 경력 10년차 주부 김모(53)씨) 지난 19일 오전 서울 서부지법 4층 경매법정. K씨를 비롯한 남녀노소 250여명이 로비까지 꽉 채워 부동산시장의 소위 ‘MB(이명박) 효과’를 실감케 했다. 오전10시 경매시작 전 법정 입구에 들어서자 부동산중개인, 40~50대 아저씨, 처음 경매법정에 나왔다는 새댁과 30대 주부, 아들의 집을 마련해주고 싶다는 노인 등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저마다 응찰가를 놓고 눈치작전을 벌이고 있었다. 이들을 헤집고 다니며 경매대출 브로커들도 부지런히 명함을 돌리고 있었다. 경매를 15년째 하고 있다는 이모(58)씨는 “지난해 말부터 증시가 침체되고 MB정부가 들어서면서 경매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며 “특히 새 정부의 재개발 지원책에 맞춰 다세대ㆍ연립 위주로 응찰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이날 경매법정에 나온 59건의 물건 중 다세대ㆍ연립 9건 가운데 8건이 낙찰(8.5대1)되는 등 전체 평균 낙찰률(39%)에 비해 높은 인기를 끌었다. 다만 다세대ㆍ연립 물건 중에서는 낙찰가율이 120% 가까이 되는 것도 있었지만 유치권 설정 등 권리관계가 복잡한 물건이 여럿 섞여 있어 평균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금액 비율)은 93.4%에 머물렀다. 이는 최근 다세대ㆍ연립의 낙찰가율이 평균 100~110%에 달하는 것과 다소 차이가 있다. 경매경력 20여년의 장모(63)씨는 “최근 다세대ㆍ연립의 낙찰가율은 2년 전에 비해 30%포인트가량 높아진 110% 안팎에 달한다”며 “하지만 감정가가 낙찰 기준으로 6개월~1년 전에 이뤄진 것이라 시세가 감정가 대비 150% 안팎에 달하는 것도 많아 이익”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경매고수인 주부 김모씨는 “경매는 뉴타운지역의 지분 20㎡ 이상을 낙찰받아도 거주의무를 면제받는 등 여러 장점이 있다”며 “하지만 그런 곳은 이미 값이 많이 올라 차라리 수년간 묵힐 생각을 하고 나중에 재개발이 이뤄질 수 있는 헌집 밀집지역에 관심을 두라”고 조언했다. 전문가들은 경매로 싸게 내 집을 마련하거나 투자수익을 거둘 수 있지만 주의점도 많다고 지적했다. 강은 지지옥션 기획홍보팀장은 “최근 한 응찰자가 긴장해서 입찰가에 0을 하나 더 써 보증금 10%를 날린 사례가 있다”며 “사전에 경매절차와 주의점을 숙지하고 경매일정 2주 전에 공지되는 경매물건을 꼼꼼히 따져 현장답사를 꼭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감각을 잃지 않기 위해 매주 경매법정에 온다는 김모(45)씨는 “경매나 주식이나 모의투자 같은 준비 없이 남들 따라 뛰어들었다가는 낭패를 보기 십상”이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