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대학 설립은 최근 산업계에 불고 있는 고졸채용 확산열기와 관련이 깊다. 사내대학은 기업 스스로 맞춤교육을 실시해 현장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키워내는 곳이다. 고졸 입사자가 늘어나면 기업들마다 재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평생교육 수요도 늘어나기 마련이다. 고졸자들도 학위가 수여되는 사내대학을 졸업하고 대졸자와 동등한 대우를 받는다면 학력파괴 바람이 제도적으로 안착되는 데 기여할 것이다. LG 등은 일종의 직업훈련 기관인 기업대학도 운영하고 있으니 다양한 방식의 재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다.
선진국들은 일찍부터 사내대학을 직원 재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맥도날드는 햄버거대학을 세워 매년 5,000여명의 점원과 가맹점주를 가르치고 있으며 모토로라와 GM은 협력업체 직원들까지 교육하고 있다. 일본도 단카이세대(베이붐 세대)의 은퇴 인력공백을 메우기 위해 사내대학 설립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지금은 말 그대로 평생교육의 시대다. 누구든지 산업현장에서 일하면서 공부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채널과 풍부한 지원 시스템이 갖춰진다면 기업 경쟁력도 훨씬 높아지기 마련이다.
국내에서는 그간 사내대학의 설립요건이 까다롭고 비용부담도 만만치 않아 기업들이 외면해온 것도 사실이다. 사내대학은 정부 지원이 사실상 전무하다 보니 웬만한 중견기업들조차 엄두도 못 내는 실정이다. 보다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낮추고 시설이나 장비를 구입하는 데 폭넓은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기업 간 컨소시엄 구성이나 산학협력을 통한 교육 시스템도 활성화돼야 마땅하다. 기업들이 현장 사정에 맞춰 학기제도를 운영할 수 있도록 재량권을 부여하고 외부 자문기관의 도움을 받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