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석 금지 첫날 현장 점검에 나선 담당 공무원이나 버스기사들도 입석 승차를 아예 막지는 않았다. 그러나 일부 정거장에선 좌석이 없다는 이유로 5∼7대가 그냥 통과하면서 참다못한 일부 승객은 지하철역으로 이동하거나 택시를 잡았다.
또 늘어난 버스가 한꺼번에 쏟아져 서울시내 도로의 교통체증이 가중됐다. 각 정류장은 길게 늘어선 버스와 승객들로 혼잡했다.
고양시 버스는 입석 금지 시행을 알리는 안내문을 아예 붙이지 않았다.
고양시 대중교통과의 한 관계자는 “확실한 교통대책도 없이 ‘입석 금지’라고 하면 시민이 더 혼란을 일으킬 수 있어 안내문은 걸지 않고 버스기사의 안내방송으로 대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경기·인천 등 3개 지자체는 이날 버스 222대를 늘려 입석 금지에 따른 승객 불편 해결에 나섰다.
그러나 실제 늘어난 버스는 134대다. 나머지는 노선을 조정하거나 신설해 증차 대수에 포함했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출근시간대인 오전 6∼9시 수도권 직행좌석형 버스 승객을 11만명으로 집계했다. 이 가운데 1만5,000명을 입석 승객으로 분류했다.
단순히 산술적으로 계산해도 이들 버스가 40∼45인승인 점을 고려하면 134대로는 최대 6,000명만 해결할 수 있다.
노선 변경에 따른 증차까지 포함해도 9,990명을 수송할 수 있어 1만5,000명을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다.
5,000여 명은 서서 가거나 나중에 도착한 버스를 타야 한다는 얘기다.
실제 고양시 대화역을 지나는 ‘1500번’ 버스의 경우 이날 오전 6시 30분부터 7시 50분까지 100명 가량 입석 승차했다.
일부 승객은 이번에 늘어난 버스는 운송업체 수익을 고려, 강남방면 등 운행거리가 짧은 노선이 대부분이라며 장거리 노선에 대한 대책을 요구했다.
국토교통부와 각 지자체는 한 달간 대책의 실효성 등을 점검한 뒤 8월 중순부터 입석 운행을 단속할 방침을 세워 놓고 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