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당헌·당규에 따라 앞으로 7일 이내에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을 새로 선출하게 되는 만큼 지도부 진용이 다시 갖춰지면 당정청 협의회를 조속히 재가동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8일 "새누리당 의원들이 대승적인 차원에서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권고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며 "그동안 박근혜 정부의 정책 지향점과 유 원내대표의 방향성이 서로 어긋나 마찰을 빚었는데 앞으로는 한 방향을 바라보며 서로 협조해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음달 25일 집권 반환점을 돌게 되면 민생경제 회복, 4대 부문 구조조정, 노동시장 개혁 등 핵심 국정과제 추진에 속도를 내야 한다"며 "당정청이 3각 연대를 구축해 협력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청와대는 후임 원내대표가 누가 될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청와대의 한 참모는 "아직 후임 원내대표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 원내대표의 사퇴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조심스럽다"고 말했는데 이는 후임 원내대표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박근혜 정부의 경제정책과 국정철학을 공유하는 인물이 추대되기를 내심 바라는 눈치다. 유승민 사태를 겪으면서 계파 갈등의 골이 깊어진 상황에서 경선을 치를 경우 당내 분란이 수습될 수 없는 지경으로 치닫게 되고 이는 결국 당청 갈등의 새로운 불씨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