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슷한 시기에 대규모로 진행되는 신입사원 공채와 달리 경력직 채용은 회사별로 수시로 이뤄지는 게 특징이다. 경력직으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신입직과는 또다른 자기만의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회사가 경력직을 채용할 때는 바로 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전문성을 중요시하는 만큼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는 게 무엇보다 필요하다. 또 잦은 이직은 면접 때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력서를 작성할 때 이력은 간단히 정리하는 대신 어떤 분야에 어떤 능력을 경험을 갖추고 있는지를 자세히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경력직으로 취업하려면 전문성이 첫째 요건=업무 전문성은 경력직 취업을 하는데 있어 기본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관련교육이나 자격증을 취득해 둔다면 전문성에 대한 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포트폴리오를 첨부하는 것도 괜찮다. 인사담당자들은 지원자의 장점은 물론 단점을 찾아내기 위해서도 눈을 부릅뜬다. 때문에 사업제안서나 기획안ㆍ프로젝트 관련 자료 등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포트폴리오를 작성해 두면 이직 시는 물론 경력관리에도 도움이 된다. ◇잦은 이직은 마이너스 요인=평생직업의 시대에서 이직도 이제는 경력관리를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잦은 이직은 아무래도 마이너스 요인이 되기 마련이다. 직장을 자주 옮겼다는 것은 회사에 잘 적응하지 못했음을 예상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력서를 작성할 때 6개월 미만의 경력은 적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러한 사항은 경력기술서에 프로젝트 형태로 나열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으로 업무수행 능력을 전달할 수 있다. 옮긴 회사마다 이직 이유를 한 줄 정도 간략하게 정리해 놓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어쩔 수 없는 외부적 사정으로 많은 회사를 다녔을 때 그것을 스스로 어떻게 정리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지원자가 어떤 업무를 수행했고, 어떤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에 더 큰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근무했던 회사에서 무엇을 얻었고, 입사 했을 때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 전달할 수 있다면 오히려 경쟁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직 사유는 특히 주의해야 될 부분이다. 물론 넉넉하지 못한 회사 사정으로 부도나 났다거나 자금 사정 악화로 인한 감봉 등의 문제를 일부러 숨길 필요는 없다. 하지만 그 보다는 다른 꿈을 펼치기 위해 퇴사를 했다는 등 자신감 있고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유가 더 좋다. 다시 말해 직장을 옮기면서 직급이 높아졌다거나, 더 폭 넓은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는 점을 등을 명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아울러 이번 직장만큼은 결코 쉽게 옮기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 분명하게 납득시킬 필요가 있다. ◇지원기업의 문화와 채용 프로세스를 확인해야=회사가 경력직을 채용할 때는 실무능력과 함께 인성도 매우 중시한다. 독불장군식의 경력자는 아무리 업무능력이 뛰어나다고 해도 꺼려지기 마련이다. 자기 자랑식의 접근보다는 자신을 상품화해서 고객에게 판매한다는 마케팅 기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 경력직은 공채라고 해도 채용절차나 평가기준이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삼성이나 CJ의 경우 지원자의 평판을 중시하고, LG는 조직의 화합을 저해할 수 있는 사람을 꺼린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입사희망 기업을 정했다면 그 기업에 대해 보고서를 쓸 수 있을 만큼 연구해 입사지원서에 반영한다. 다른 지원자들과는 확실히 차별화 된 경쟁력이 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