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가격을 통제할 의약품의 범위를 현재 20%에서 3분의2 수준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항암 및 항에이즈 치료제를 포함해 348개의 필수화합물 의약품으로 가격통제 대상이 넓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 정부는 국민의 3분의2가량에게 의료보험이 없기 때문에 제약회사들이 의약품을 더 저렴하게 판매할 필요가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에 대해 인도 제약시장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기대하고 진출했던 글로벌 제약회사들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막대한 연구개발(R&D) 비용을 충당하려면 해외에서 수입하는 브랜드 의약품에 높은 가격을 매겨야 하는데 인도 정부가 이를 막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가격정책은 시장 자율에 맡겨야 하는데 인도 정부가 개입해 건전한 경쟁을 저해한다는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함께 글로벌 제약회사들은 특허침해 소지도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초 인도 특허청은 독일 바이엘사가 보유한 신장 및 간암 치료제 '넥사바'에 대한 라이선스를 현지 제약회사에 승인할 것으로 요구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