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한국건축문화大賞] 계획부문 우수상·특선

사람과 사람 사이… 소통의 공간 빚어내

피맛골;세상을 잇다 (홍승우-수원대학교 건축공학과)

Auto Convergence (최지훈·김웅·문주원-홍익대학교 건축공학부)

유쾌한 개성의 공생을 꿈꾸다 (최호근·김영준-홍익대학교 건축공학부)

문래예술공단 (이진경·기세호-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공존, 또하나의 어울림;작은 지구촌 원곡동 이야기 (진익주-한밭대학교 건축학과)

<우수상>

▦피맛골; 세상을 잇다
(홍승우-수원대학교 건축공학과)

돈의동은 서울의 심장부 종로에 위치해 있다. 주변에는 청계천, 인사동, 업무단지, 학원가, 상업가 등 다양한 색깔의 도시 기능이 분포해 있다. 하지만 한때 사창가가 들어서 있다가, 다시 이 사창가가 폐지되면서 사람들이 기피하는 도시공간이 돼버렸다. 현재는 일용직 근로자 등의 일시적 거주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구(Bulb)'를 콘셉트로 어두운 공간에 갇혀 지내는 소외된 이들의 생활을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직업, 광장, 외부인과의 소통의 철학을 녹여 '도시의 농장'을 그려냈다.

▦Auto Convergence
(최지훈, 김웅, 문주원-홍익대학교 건축공학부)

도시가 아름답기 위한 조건은 외형이 아니다. 커뮤니티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리를 좁힐 때 도시는 아름다워 진다. 조선시대에 성균관과 도살장, 그리고 백정촌이 들어서 있던 명륜동. 이 작품은 '입시전쟁'을 치러 대학에 입학했지만 또 다시 '취업전쟁'에 뛰어든 인근 명륜동 대학 학생들을 위한 공간을 계획했다. 소통을 단절하는 수직적 공간이 아닌 수평적 공간 설계를 통해 건물에 '소통'의 이미지를 녹여냈다.

▦유쾌한 개성의 공생을 꿈꾸다.
(최호근, 김영준-홍익대학교 건축공학부)

도시는 시민 개개의 개성이 극대화되는 공간이지만 공생이 없인 삶이 피폐해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때문에 '소통의 공간'은 도시민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작품은 다양한 문화와 인종이 공존하면서 단절이 일상화돼 있는 홍대를 배경으로 했다. 건축물은 거주민 각자의 개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각 '유닛(Unit)'을 격자무늬로 엮은 모습이다. 또 격층마다 오픈된 공간을 만들어 각 가구의 생활 공간을 중첩시켰다. 이를 통해 각각의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보호하면서도, 공생이 가능한 건축물을 만들어 냈다.

▦문래예술공단
(이진경, 기세호-서울대학교 건축학과)

현재 서울에서 예술이 생산되는 공간은 크게 두 종류다. 하나는 예술가들이 스스로 만들어 자생적이지만 낙후된 공간, 또 다른 하나는 선발된 소수 예술가들을 위해 조성돼 도시와 단절된 공간이다. 작품은 과거 공업단지였지만 서울의 예술가들이 자생적으로 만들어낸 창작촌 문래동 '문래예술공단'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철공소 단지와 아파트 단지 사이에 끼어 있는 문래예술공단이 문화적 버퍼로 작동하며 두 지역을 매개하는 공간이 되도록 계획했다.

▦공존, 또하나의 어울림;작은 지구촌 원곡동 이야기
(진익주-한밭대학교 건축학과)

최근 한국사회는 해외 이주자들이 급증하면서 급속히 다문화 국가로 바뀌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이주민들은 한국사회와 문화적 갈등을 겪을 뿐만 아니라, 범죄를 저지르기도 한다. 특히나 이주 노동자들이 많은 안산 공단지역은 그 같은 모습이 빈번히 발생하는 곳이다. 작품은 대표적 다문화 마을인 안산 원곡동에 공존의 공간을 제안하고 있다. 이주민과 지역주민간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허울뿐인 다문화 거리를, 만국기 이미지를 콘셉트로 각각의 문화가 공존하는 공간으로 변모시켰다.

<특선>

▦구 음식물자원화시설의 리노베이션을 통한 사회적 소통 제안
(최병원, 정판기, 송지연-울산대학교 건축학과)



작품은 울산과 경주의 경계에 있는 옛 음식물자원화 시설을 '리노베이션(renovation, 개보수)'했다. 이 시설은 악취 문제 등으로 현재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이곳에 도시적 개발을 이뤄낸 울산과 '고도(古都)'의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려는 경주의 문화적 대립을 완충하는 건축물을 계획했다. 두 지역의 시민들이 이 문화 복합시설에 문화를 소비하며 함께 어우러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고가도로 놀이터
(박청석-충북대학교 건축학과)

대상지는 예전엔 경부고속도로였지만 지금은 인근 공원 주차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전 고가도로다. 외관을 그대로 유지해 지나간 역사의 이미지를 남겨 놓으면서도 곳곳에 여러 문화시설을 집어넣어 도시민이 문화를 소비하는 건축물로 기능할 수 있도록 했다.

▦死각형 아파트를 生각한 커뮤니티(손인빈, 윤석민-청주대학교 건축학과)

아파트는 단지와 단지, 혹은 동과 동 사이에 커뮤니티 공간이 부재한 획일적인 배치가 주를 이룬다. 작품은 단지 곳곳에 흩어져 있는 커뮤니티 시설과 상가를 아파트와 아파트 사이를 파고들어 이어주는 형태의 넓은 공간에 모았다. 이렇게 커뮤니티와 상가를 한 곳에 집약시켜 단지 주민들이 체감하는 소통공간을 넓혔다.

▦경계를 허물다(박성준, 이현욱, 함민영-서원대학교 건축학과)

사회와 단절되어 살아가고 있는 독거 노인과 부모를 잃은 어린 아이의 주거에 대해 고민했다. 건물은 인근 주민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공용주차장을 마련해 도시의 주차난을 해결하면서도 독거노인과 고아가 사회와 만나는 접점을 제공한다. 또 지하 1층에는 공연장을 설치해 많은 이들이 이곳을 자발적으로 찾을 수 있게 했다.

▦삶의 풍경, 공동의 풍경, 도시의 풍경(김태용, 신지훈-명지대학교 건축학과)

다세대 주택이 밀집한 서대문구 북가좌동 일대를 대상으로 한다. 단지 외의 공간과 단절되어 있는 아파트, 너무 협소해 여유로운 삶을 누리기 힘든 다세대 지역. 이 두 공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가 담겨 있다. 각 가구에 마당을 제공해 서로가 서로의 삶을 확인할 수 있게 했고, 각 건물을 죽은 공간인 지하로 연결해 소통 공간을 만들었다.

▦공번(共繁)-대형마트와 전통시장의 공생계획안(김형일, 이광호, 박소영-강원대학교 건축학과)

예부터 시장은 물리적으로 '유통'이 일어나지만 사회적으로 '소통'이 일어나는 공간이었다. 하지만 오늘날 대형마트, 기업형슈퍼마켓(SSM)의 등장은 이 같은 재래시장의 전통적 기능을 약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까지 야기하고 있다. 작품은 서울시 성수동 뚝도시장과 인근 대형마트를 한 곳에 묶어 두 개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공존이 가능한 건축물을 계획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