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점검 대상은 ▲준공사업장(방화동 도시형생활주택 등 7개 사업장) 384호 ▲공사 중인 사업장(신내의료안심주택 등 4개 사업장) 628호 ▲착공 전 사업장(세곡2지구 도시형생활주택 등 6개 사업장) 702호, 총 17개 사업장, 1,714호다.
점검은 준공됐거나 현재 공사 중인 사업장은 현장점검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착공 전인 사업장은 설계도서를 검토하는 방식으로 안전점검을 한다.
서울시는 소방·방재 외부전문가 2명, 사업시행자인 SH공사 2명, 서울시 1명 이렇게 총 5명으로 점검반을 꾸려, 16일부터 1월 말까지 안전점검을 시행한다
점검반은 인접건물과의 위해요소, 소방시설 준수 및 가동 여부 등을 꼼꼼히 살피고, 안전에 취약한 부분에 대해 보완을 시행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착공 전 사업장 6곳의 설계도서를 점검하는 자문회의를 열어, 소방·안전과 관련해 추가로 설계에 반영할 부분은 없는지 살피고 보완할 계획이다.
공사 중인 사업장은 공사장 안전 관련은 물론 소방 관련 사항을 점검해 필요한 경우 추가로 설계에 반영토록 할 예정이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화재에 취약한 소규모의 공공원룸주택에 대한 안전점검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며 “향후 소규모 공공원룸 주택 외에도 공공주택 전체에 대한 안전점검 상시 실시로 안전사고를 예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