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업위원장인 김동철 새정치연합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 질문에서 "정부 재정 문제가 심각한데 수조원을 날린 해외 자원개발 문제는 어떻게 할 것이냐"면서 "이명박 정부 때 에너지 자원 개발의 쾌거라고 했던 하베스트 인수는 석유 공사가 일주일 만에 4조5,000억원에 인수한 것"이라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인수를 위한) 자문보고서는 5일 만에 만들어졌고 이사회 승인도 없었고 2년 뒤 2조원이 날아갔다"면서 "김백중 당시 청와대 총무비서관의 아들이 메릴린치 지점장으로 있었는데 평가에서 5등을 (했지만 자문사로 선정돼 활동)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특히 "자원 외교가 권력형 비리가 아닌가"라고 따져 물었다.
정 총리는 이에 대해 "비리가 있으면 철저히 수사하고 제도 등은 시정하겠다"고 답변했다. 김 위원장은 이후 기자와의 통화에서 "총리가 검찰 수사를 할 수 있다는 답변을 했다는 것이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산업위 차원에서 총리의 답변 내용을 근거로 해 검찰 고발 작업을 검토하고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23일 석유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경영상 판단의 잘못으로 국부가 유출된 줄 알았더니 석유공사의 하베스트 인수는 이명박 정부의 권력형 비리"라며 "(강 전 사장이) 두번에 걸친 감사원 감사도 수용하지 않는 만큼 위원회가 검찰 수사를 의뢰해 법원의 최종 판단을 받도록 양당 간사가 협의해달라"고 검찰 고발 의지를 밝힌 바 있다.
한편 정 총리는 이날 이정현 새누리당 의원이 "개헌은 국민의 완전한 합의 없이는 될 수도 없고 돼서도 안 된다"고 말하자 "경제 문제가 해결된 뒤 개헌 문제를 논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또 정청래 새정치연합 의원이 "대통령이 나서서 개헌 논의에 대해 입을 막는 것은 삼권분립에 어긋난다"고 묻자 "입을 막았다는 것은 과한 말씀이다. 정부 입장을 간곡하게 호소한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