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금 모아 문화복합공간·상업시설 등 세워 조합 형태 사회적기업 만들어 일자리도 창출
서울시 벤치마킹 나섰지만 캠페인 성격 짙어 주민의식 바뀌고 제도적 기반 등 뒷받침돼야
영국 런던 템스강변 사우스 뱅크(South bank) 지역의 코인 스트리트(Coin Street). 이곳에 독특한 외관으로 유명한 옥소타워(OXO Tower), 해마다 템스 페스티벌이 열리는 버니 스페인 가든(Bernie Spain Garden)이 있고 그 옆 가브리엘 부둣가로 쭉 늘어선 오래된 건물들 1층에는 아기자기한 상업시설이 들어서 있다.
하지만 코인 스트리트는 1980년대까지 낙후된 도심 공장 밀집지역으로 흉물스러운 분위기를 풍기던 런던의 어두운 뒷골목이었다.
낙후된 기존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도입해 도시를 다시 부흥시키는 사업을 의미하는 '도시재생'. 런던의 코인 스트리트는 도시재생의 대표적인 성공 모델로 꼽히는 곳이다.
◇런던에서 시작된 '도시재생'사업=도시재생사업은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난개발의 후유증을 앓던 영국 런던에서부터 시작됐다. 도시재생의 필요성이 대두됐던 1980년대 마거릿 대처 정부는 민간개발업자 중심의 대규모 재생사업을 펼쳤다. 하지만 주민 간의 갈등과 개발이익의 사적 전유 등 현재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문제들을 겪게 됐고 이 때문에 1990년대 존 메이저 정부 들어 지역 중심의 파트너십 경쟁체제로 재편된다. 이는 다시 1990년대 후반 토니 블레어 정부가 들어서며 지역공동체 중심의 도시재생사업으로 변모하게 된다.
이런 역사를 가진 런던에서 가장 성공한 도시재생 사례인 코인 스트리트는 국공유지와 노후화된 공장부지가 대부분이었던 곳으로 당초 런던의 개발업자에 의해 화려한 호텔과 높이 솟은 마천루로 개발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1984년 개발 이후 삶의 터전을 잃을 것을 우려했던 주민들이 뭉쳐 '코인 스트리트 지역공동체(CSCBㆍCoin Street Community Builders)'를 결성했고 이들이 제출한 정비계획안이 대런던위원회의 지지를 받아 주민 중심의 재생사업이 시작됐다. CSCB는 기금을 모아 부지를 매입했고 노후 건물을 리모델링 하는 식의 재생사업을 시작했다.
◇지역 정체성 및 경제도 활성화=CSCB의 목표는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지역공동체 건립'이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사회적 기업의 수익구조 창출이 중요했다. CSCB이 보유한 시설은 크게 문화복합 공간인 옥소타워(OXO Tower), 가브리엘 부두 상업시설(Gabriel's Wharf), 협동조합형 임대주택, 커뮤니티 센터, 버니 스페인 가든 등이다. 시설을 통해 얻은 CSCB의 수익금은 고스란히 이 지역의 공동체 증진을 위한 커뮤니티 시설 등을 세우는 데 사용됐다.
이렇게 주민들이 직접 나서 사회적 기업이나 협동조합을 설립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고용도 늘어났다.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과 공동체를 보존할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도 활성화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낸 것이다.
◇서울시 '만들만들기' 사업 추진=박원순 서울시장은 코인 스트리트 사례를 두고 "지역주민 중심의 마을기업이 중심이 돼 개발한 덕분에 마을에 필요한 개발이 이뤄질 수 있었다"며 "벤치마킹을 위해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이 이런 언급을 한 배경은 우리나라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시재생 사업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지자체들은 앞다퉈 뉴타운ㆍ재개발의 출구를 찾으면서 기존 도시재생사업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고 '전주(錢主)' 역할을 해온 민간 건설사들도 수익성을 이유로 사업에서 발을 빼고 있는 추세. 대규모 개발 사업을 대체할 지속 가능한 형태의 도시재생 사업이 불가피한 것이다.
서울시는 일단 '마을 만들기'라는 사업으로 도시 재생을 모색 중이다. 이 사업은 영국 코인 스트리트처럼 기존 주택과 건물을 철거하는 대신 특색 있게 리모델링하는 한편 마을 내 공동체 커뮤니티 시설을 설치하고 협동조합 형태의 사회적 기업을 만들어 일자리 창출까지 유도하는 방식이다.
시는 지난해 9월 향후 5년간 975개의 마을계획 수립 및 재정적 지원 내용을 담은 '마을공동체 기본계획'을 발표했고 이 가운데 서울시내에 현재 83개의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마을만들기 사업이 아직은 뉴타운사업의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지 않아 캠페인의 성격을 벗어나기 힘들다는 것이다.
조명래 단국대 도시계획 및 부동산학과 교수는 "마을만들기는 도시재생법과 같은 제도적 기반이 갖춰지지 않으면 공동체를 보존하는 주민 중심의 지속 가능한 재생사업으로 도약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제도적 기반 마련뿐만 아니라 주민 의식 변화 등으로 사회적 기업이 클 수 있는 사회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