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9일 개막되는 인천 아시아경기대회에 북한 응원단 참가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나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정치권과 시민사회의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국방부가 북한 응원단 참가를 비난하는 장병 정신교육을 실시해 물의를 빚는 등 정부 부처 간 갈지자 행보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일 국방부는 “북한 응원단의 실체는 소수정예의 혁명전사”, “미인계를 앞세운 대남선전 선봉대”라고 주장하며 북한 응원단 참가를 비난하는 내용의 장병 정신교육을 실시했다. 이는 당초 북한 응원단의 참가를 환영한다던 통일부의 입장과도 정면으로 배치되고 인천 아시안게임을 통해 남북화해협력의 계기를 만들어 가려 하는 여야의 입장과도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렇듯 정부 부처간에 상반된 갈지자 행보가 이어지는 것은 정부 정책의 최종 결정자인 청와대에 책임이 있다. 부처 간 이견을 사전에 조율하지 못 했고 국가적 행사를 준비함에 있어 철저한 자세를 보여주지도 못했다. 정책의 조율과 리드라는 청와대 본연의 의무를 외면한 채 방치한 것이다.
이런 와중에 5일 발표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결과는 사뭇 의미심장하다. 인천 아시안게임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는 12년 전 부산 아시안게임에 비해 20%나 낮은 45%에 불과했고 성공 개최를 전망하는 국민도 63%에 불과했다. 2주 밖에 남지 않은 인천 아시아경기대회가 국민의 호응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 정부의 비상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우리가 처한 현실은 북한의 응원단 불참 통보와 부처 간 엇박자일 뿐이다.
인천 아시아경기대회는 인천만의 행사가 아닌 국가적 이벤트이다. 책임 있는 정부라면 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되고 아시안게임을 통해 남북관계 개선과 화해협력의 길을 모색하는 것이 상식이다.
적어도 이 문제는 여와 야의 이견이 없는 과제임에 분명하다. 북한 응원단의 참가는 짧게는 대회흥행의 디딤돌이 돼 인천 아시안게임의 흑자구조를 굳힐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하지만 길게 보면 남북관계 개선의 길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기회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도 형식논리에 치우친 정부를 전날 강력히 질타하며 남북공동응원단 구성을 주문하기도 했다. 적어도 정치권에서는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북한 응원단 초청에 대해 별 이견이 없는 셈이다.
청와대와 정부는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하나된 의지로 북한 응원단 참가와 남북공동응원단 구성을 위해 빨리 이견을 교통정리하고 북한과 적극적인 협의에 나서야 할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인천 남동을)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