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거품 꺼진 희토류… 거품 문 몰리코프

中 수출쿼터·관세 폐지發 쇼크에 융자금 상환 못해 파산위기

희토류 버블이 꺼지면서 미국의 유일한 대형 생산업체 몰리코프가 파산을 눈앞에 두고 있다. 5월3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 몰리코프가 (만기가 돌아오는) 3,250만달러의 융자금을 상환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30일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6월 말 파산 신청에 이를 수 있다"고 전했다. 몰리코프는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고 부채 규모는 17억달러에 달한다. 한때 60억달러에 이르던 시가총액도 최근 1억5,000만달러로 쪼그라들었다. 몰리코프 측도 지난 4월 "만약 가격과 이익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운영을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희토류는 휴대폰과 TV·하이브리드차량·충전기 등 첨단제품에 꼭 필요한 희귀광물 15종을 뜻한다. 문제는 수요는 극소량인데 투기수요 가세와 중국의 수출물량 제한 등의 여파로 2011년 가격이 폭등하자 미국·호주·인도네시아 등 희토류 보유국이 너도나도 개발에 나선데다 대체물질까지 개발되면서 공급과잉이 심화됐다는 점이다. 특히 중국의 정책변화가 가격붕괴를 초래했다. 전 세계 생산량의 70~80%를 차지하는 중국은 과거 '희토류 무기화' 차원에서 수출물량을 제한했다. 이후 미국과 일본·유럽연합(EU)의 공동 제소로 2014년 세계무역기구(WTO)가 협정에 위배된다고 판결하자 올해 1월과 5월 각각 수출쿼터와 수출세를 폐지했다.

이 때문에 란탄과 세륨 가격은 2011년 각각 1㎏당 150달러에서 최근 4달러 밑으로 떨어졌다. 네오디뮴 가격도 1㎏당 330달러에서 60달러 수준으로 추락했다. 전체 희토류 시장 규모도 150억달러 정도에서 10억달러로 줄었다. WSJ는 "희토류 시장의 부침은 1630년대 네덜란드 튤립 투기 광풍이나 1840년대 미국의 철도 투기, 1990년대 인터넷 버블을 연상시킨다"며 "희토류 거품 붕괴는 호주의 대형 희토류 업체 리나스나 중국 이외 지역의 수백개 소형업체의 미래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