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 선진국들이 고유가와 식품 가격 급등을 국가 안보 차원의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22일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그간 미국과 유럽 국가들은 고유가 및 식량 위기를 주로 인권이나 사회 문제 관점에서 다뤄왔지만, 최근 아시아ㆍ아프리카에서 폭동이 야기되는 등 사회불안이 가중되면서 국가 차원의 안보 이슈로 격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제유가는 지난 20일 현재 배럴당 134달러를 웃돌고 있고, 대두ㆍ옥수수 등 곡물 가격 역시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글로벌 인플레 리스크를 고조시키고 있다. FT에 따르면 지난 1973년 1차 오일 쇼크 이후 가장 심각한 유가 급등과 식량 부족 사태로 전 세계 곳곳에서 위기 징후가 포착되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유류 제품에 대한 정부 보조금의 대폭적인 삭감으로 시민들이 정권 퇴진운동에 나서고 있고, 세계 최대 쌀 수입국인 필리핀은 쌀 부족으로 민심 이반이 심각하다. 지난 5월에는 쌀값 폭등에 성난 아이티인들이 자크 에두아르 알렉시스 총리를 쫓아내기도 했다. 세계 각국의 기상재해도 곡물가 폭등의 직접 원인이 되고 있음은 물론 정치적 사회적 소요를 격화시킬 요인으로 꼽힌다. 미국 중서부 곡창지대의 홍수로 콩 및 옥수수 가격이 폭등하고 있고, 호주는 사상 유례없는 가뭄으로 올해 밀 수확량이 격감할 전망이다. 중국도 쓰촨성 지역의 대지진에 이어 남부지역의 대홍수로 민심이 흉흉해지고 있다. 중국 경제가 예년과 같은 수준의 성장을 이뤄내지 못하면 이 같은 자연재해는 인플레이션과 겹쳐 사회적 불안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된다. 파키스탄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 석유 수입대금 지불을 유예해 줄 것을 요청했으며, 모로코는 석유와 곡물 수입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연합에 8억달러의 자금을 빌리기로 했다. 인도를 비롯해 쿠웨이트, 사우디 등 산유국들도 두 자리 수의 인플레로 몸살을 앓고 있다. 조셋 시런 세계식량계획(WEP) 사무총장은 “현재 전세계 30개국 이상에서 식량 문제로 폭동이 발생했다”며 “식량 안보는 단순히 배고픔만이 아니라 평화와 안정 그 자체라는 것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도 최근 “배고픔과 굶주림은 사회 대혼란은 물론 국가의 실패를 야기할 것”이라며 “내부 혼란은 물론 식량과 원유를 둘러싼 국제 사회의 반목이 결국 전쟁까지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워싱턴 정가의 한 관계자도 “이미 세계 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 역할을 맡고 있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정정 불안은 안보 문제인 동시에 글로벌 경제의 최대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