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대책위원회를 통한 ‘박근혜식 개혁’이 한나라당 내부 반발에 부닥치며 정치력 논란에 휩싸이고 있다. 외부출신 비상대책위원 일부가 친이명박계 핵심인사의 퇴진을 공개 요구한 데 대해 당내 친이계 인사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또 이들은 비대위원들의 전력 등을 문제 삼으며 반격에 나서 내홍조짐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과거 친이계 퇴진을 요구했던 쇄신파조차 ‘비대위의 방법이 서툴렀다’면서 박근혜 위원장이 정치적으로 해결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박 위원장이 양측의 분란을 봉합해야 하는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당 외부출신 비대위원인 이상돈 중앙대 교수와 김종인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제기한 `MB(이명박) 정부 실세 용퇴론' 이 갈등의 도화선이 됐다. 이 교수는 29일 내부출신 비대위원인 주광덕ㆍ김세연 의원과 만나 "항상 해왔던 말이다. 평소 입장을 말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김 의원 등은 발언 자제를 요청했다. 김 의원은“이상돈 위원 개인 의견일 뿐”이라면서 “앞으로 비대위원 개인 의견이 나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위원장도 이날 열린 의원총회에서 ““쇄신을 해 나가는 과정에서 누구는 단정적으로 쇄신 주체이고, 대상이라고 하면 성공할 수 없다”며 “사실 우리에게는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우리가 힘을 모아서 쇄신 과제들을 실천해 간다면 위기를 반드시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퇴출 대상으로 지목된 의원들은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홍준표 전 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어이가 없다. 요새 하는 것을 보니까" 라고 불쾌감을 나타냈다. 그는 이상돈 교수가 천안함 사건과 관련, 한 인터넷 사이트에 올린 칼럼에서 북한의 공격 때문이 아니라 우리 군이 과잉 무장한 탓에 선체피로 가능성을 제기한 점을 문제 삼았다. 홍 전 대표는 "우리가 조용환 헌법재판관 내정자를 부정하는 이유가 북한의 천안함 폭침사건(에 대한 부정적 입장) 때문인데 그걸 부정하는 사람을 한나라당 비대위원으로 둬서 되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김영삼 정부였던 1993년 동화은행으로부터 2억 1,000만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김종인 전 수석을 향해서는“검사 시절 내가 (동화은행 뇌물수수 사건에 대해) 10분만에 자백을 받았던 사람”이라고 꼬집었다. 다만 이재오 의원은 “할 말 없다”며 입을 다물었다. 26세의 외부 비대위원인 이준석은 한나라당 출신인 무소속 강용석 의원과 트위터에서 자격 논란을 벌였다. 강 의원은 "나이와 학력, 경력, 군대가 잘 안 맞는 것 같다"며 "고 2때 카이스트 진학하고 3학년 때 하버드 4학년으로 편입해서 1년 만에 졸업해야 2007년 11월에 공익요원가능? 거의 타블로 수준인데"라며 비꼬았다. 이에 이 위원은 "우선 산업기능요원에 대한 이해가 좀 필요하실 것 같다"며 산업기능요원 뜻이 담긴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웹페이지를 트위터에 링크했다. 이 같은 논란을 지켜본 쇄신파 의원들은 박근혜 비대위의 정치력 부재를 탓했다. 원희룡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원 자격 논란은 지엽적인 것”이라면서도 “정치란 게 순수하게 시작해도 생각하지 않은 사건이 생기고 저항에 부딪치기 마련인데 비대위가 감당할 수 있는 정치력이 있는 지 알 수 없다. 지금 봐서는 박근혜 위원장 혼자 정치력을 발휘할 사람인 것 같다”고 지적했다. 과거 친이계 핵심인사의 퇴진을 요구해온 정두언 의원과 정태근 무소속 의원은 “지금 필요한 것은 민생법안 처리”라면서 대기업 로비 등에 의해 막힌 중소기업 지원법과 부자증세 등을 내년 임시국회를 열어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